식품업계 "R&D·해외시장 진출에 과감한 정부 지원을"

입력 2018-10-25 09:03   수정 2018-10-25 09:16

식품업계 "R&D·해외시장 진출에 과감한 정부 지원을"
이개호 장관 "국내외 여건 어려워져 고민"…CJ제일제당 등 15곳 CEO 간담회 참석



(서울=연합뉴스) 이태수 기자 = 식품업계가 녹록지 않은 국내·외 여건에 대응하고자 정부를 상대로 연구개발(R&D)과 중국·동남아 해외 시장 진출 지원 등을 요청하고 나섰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5일 오전 서울 서초구 쉐라톤서울팔래스 강남호텔에서 '식품산업활성화를 위한 농식품부 장관·식품기업인 간담회'를 열어 이 같은 논의를 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는 이개호 장관을 비롯해 CJ제일제당·대상·농심·동원F&B·동서식품·매일유업·오뚜기·남양·샘표 등 국내 대표 식품업체 15곳의 CEO가 참석해 상견례를 겸해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나누는 자리로 마련됐다.
이개호 농식품부 장관은 인사말에서 "어렵고 힘들지 않은 사람이 어디 있겠느냐마는 식품산업 역시 어떤 분야보다 어려움을 겪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며 "국내 상황도 그렇지만 대외 여건이 갈수록 어려워져 우리도 함께 고민하고 걱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지표로 보면 우리 식품산업은 계속 지속해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며 "2016년 말 통계만 보더라도 식품산업 매출은 86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고, 외식시장까지 합치면 200조원이 훌쩍 넘는 규모"라고 강조했다.
이어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해야 할 일이 많고, 정부가 뒷받침해야 할 과제도 많다"고 덧붙였다.
이에 이창환 식품산업협회장은 "식품산업은 지난 10년 7∼8% 고성장해왔다"며 "국가 저성장 기조에 비춰보면 상대적으로 높은 성장을 지속한 것으로, 수출 증가율은 약 12%에 달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식품 R&D에 과감한 예산을 지원해 달라"며 "과거 소액·소단위의 R&D 투자에서 벗어나 우리 핵심 식품산업에 공통으로 필요한 기술 분야에 대한 소비자 트렌드 변화에 맞춰나갈 수 있는 미래형 혁신 식품 R&D에 많은 예산을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또 "수출 시장 개척과 더불어 한국 식품산업의 세계화에 적극적인 관심과 정책적 지원을 요청한다"며 "지리적 이점과 문화·식생활 유사점을 가진 동남아를 근간으로 세계로 발전하는 식품산업이 되도록 지원해달라"고 덧붙였다.
이날 행사에서 기업들은 식품산업의 발전을 위해 경영상의 어려움을 털어놓고, 정부를 상대로 건의사항을 제시했다. 주로 중국의 '사드 보복'에 따른 까다로운 수출 절차 해소와 규제 완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강신호 CJ제일제당 대표는 "식품위생에 대해 소비자에 신뢰를 주고 한식을 세계에 알려 대한민국의 국격을 높여야 한다"면서도 "그러려면 김치·장류·김 같은 품목을 지속해서 국내에서 생산하고 대기업이 (소상공인과) 상생도 하면서 잘 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말했다.
대기업인 CJ그룹 소속 CJ제일제당이 생산하는 김치 등이 K-푸드의 주요 품목이면서도 생계형 적합업종 후보로 이름이 오르내리는 것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해석된다.
정홍언 대상 대표는 "아미노산과 비타민을 중국으로 수출해 수요를 확대하려 하는데 (중국) 인허가 문제가 있다"며 "중국에서 생산하는 제품은 국내로 막 들어오는데, 중국 수출은 인허가 절차가 중단돼 우리가 백방 노력해도 어렵다"고 토로했다.
이재혁 롯데그룹 부회장은 "일본은 희석·증류 소주가 반반이지만 우리나라는 99%가 희석식 소주"라며 "그래서 원료를 베트남산 타피오카로 쓰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롯데는 증류 소주를 진로와 함께 활성화하려 하는데 쌀 가격이 문제가 있다"며 "국가 차원에서 가격 경쟁력이 있는 쌀 가격을 준다면 증류 소주로 바꿔 국내 쌀 소비도 촉진하면서 우리 고유의 소주 시장으로 돌아갈 수 있다. 지역별 평야에서 나는 특정 쌀을 이용한 증류 소주를 개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이개호 장관은 "내년 상반기에 중국에서 가공식품과 신선 채소를 중심으로 대대적인 물산전을 해보려 한다"며 "다음 달 한·중·일 농무장관 회담 때도 중국 측에 (인허가 관련) 회신이 이뤄지도록 촉구하겠다"고 답했다.
또 "대기업 대상 업종 제한은 우리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이 점에 대해서는 대기업의 부담이 지나치게 생기지 않도록 적절한 스탠스를 유지해달라는 취지로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에 반드시 전달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FTA로 수혜를 본 기업은 농어촌상생기금에 관심을 가져 달라"며 "농촌에 대한 애정으로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ts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