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시론] 안전 중요성 일깨운 '세월호 교훈' 망각해선 안돼

입력 2018-12-13 16:05  

[연합시론] 안전 중요성 일깨운 '세월호 교훈' 망각해선 안돼

(서울=연합뉴스) 정부가 13일 범정부 안전관리 대책회의를 열어 에너지, 철도, 금융전산, 원자력 등 사회기반시설 분야의 안전대책을 집중적으로 점검했다. 최근 백석역 열수송관 파열, 강릉 KTX 탈선, 아현 KT 통신구 화재 등 민생과 직결된 사회기반시설에서 안전사고가 잇달아 발생하자 정부가 비상대응에 나선 것이다.

비록 늦은 감이 있지만, 정부가 안전문제를 현안으로 다루기로 한 것은 다행스럽다. 최근 각종 안전사고가 연발하면서 사회적 불안지수가 부쩍 높아져 있기 때문이다. 지난 4일 고양 백석동 대로에서 열수송관이 터지면서 섭씨 100도의 물이 주변을 덮쳐 차를 몰고 가던 60대 1명이 숨지고 20여명이 화상을 입었다. 열수송관 파열은 11일 서울 목동, 12일 안산시 고잔동 아파트단지 부근에서도 이어졌다. 두 곳 모두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시민들 불안감은 더 커졌다.

문제는 안전사고가 시설물 종류를 가리지 않고 발생한다는 점이다. 지난 8일 강릉역을 출발한 서울행 KTX 열차가 단 5분 만에 탈선한 사고는 오영식 코레일 사장의 사퇴까지 몰고 왔다. 사고 구간에서 열차가 시속 100㎞ 정도로 달렸기에 인명피해가 14명 부상에 그쳤지만, 탈선 열차가 비탈면으로 굴렀거나 고속주행 구간에서 탈선했더라면 대형 참사로 이어질 뻔했다.

KT 아현지사 지하통신구 화재로 응급환자가 119 신고를 못 해 목숨을 잃은 사실은 'IT 강국'이라는 우리의 자존심에 상처를 남겼다. 외국인 근로자가 재미로 날린 풍등 때문에 발화했다는 고양 저유소 화재도 자칫 대규모 참사로 이어질 뻔한 아찔한 사고였다. 서울 강남 테헤란로에 있는 15층짜리 주상복합빌딩이 붕괴 조짐을 보여 80여 입주업체가 긴급 퇴거했다는 소식은 6월의 용산 상가건물 붕괴에 이어 서울시민을 더 불안하게 만들었다.

전문가들은 사회기반시설에서 안전사고가 연이어 발생하는 것을 대형 참사의 전조(前兆)일 수도 있다며 경각심을 촉구한다. 고도성장기에 지어진 성수대교와 삼풍백화점이 1994·95년 차례로 무너져내린 잔상이 우리들 뇌리에 아직 남아있기에 이들의 목소리가 예사로 들리지 않는다. 강남 개발이 이뤄진 지 40년의 세월이 흘렀고 분당, 일산 등 1기 신도시 건설도 이제 30년 전 일이다. 그 당시 안전기준은 지금보다 약했다. 그만큼 안전점검과 진단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안전관리는 법과 제도만으로 해결될 일은 아니다. 2014년 4월 300명 넘는 인명을 앗아간 '세월호 참사' 이후 정부가 안전에 관한 법제와 매뉴얼을 다 뜯어고쳤지만, 사고는 끊이질 않는다. 사회 구성원 모두 안전의식의 수준을 높여야 한다. 관에만 맡겨놓을 일도 아니다. 민관이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고 안전관리를 일상화할 수 있도록 의식을 바꿔야 한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