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제재에 테헤란오토쇼 '썰렁'…이란·中 4개 업체만 참가

입력 2019-01-09 21:53  

美제재에 테헤란오토쇼 '썰렁'…이란·中 4개 업체만 참가



(테헤란=연합뉴스) 강훈상 특파원 = 8일(현지시간) 이란 테헤란에서 개막한 자동차 전시회 '테헤란 오토쇼'는 미국의 대이란 제재의 '한파'를 실감 나게 느낄 수 있는 현장이었다.
테헤란 오토쇼는 1년 전 열린 지난해 행사와 마찬가지로 테헤란 남부 대형 전시장 샤흐르 아프탑 센터에서 열렸다.
행사 일정은 나흘간으로 정해져 지난 번과 같았지만 붉은 카펫이 깔린 행사장에 전시된 신차는 눈에 띄게 적었다.
그도 그럴 것이 미국이 대이란 제재를 복원하기 전인 지난 행사에는 이란 국내 자동차 회사는 물론 폴크스바겐, 메르세데스-벤츠, 르노, 푸조, 도요타 등 외국 회사 등 36개사가 참여해 중동 최대인 이란의 자동차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그러나 올해 행사에 전시 부스를 차린 자동차 회사는 4곳에 그쳤다.
2곳은 이란 국영 자동차 회사 이란코드로, 사이파였고 나머지는 중국의 베이징자동차그룹(BAIC)과 항톈(航天)오토 2곳이 채웠다.
이들 중국 회사가 선보인 차종도 이란 국내에서 조립한 모델이었다.
미국은 지난해 5월 1단계 대이란 제재를 복원하고 이란에 대한 완성차와 자동차 부품 수출을 제재 대상으로 지정했다.
이란 정부 역시 이에 맞서 외화 유출을 줄이려고 외제 차 수입을 금지한 탓에 다른 나라의 신형 차를 이란에서 볼 수 있는 길이 막혔다.
텅 빈 전시장 탓에 그렇지 않아도 분위기가 가라앉은 가운데 개막일인 8일엔 이란 사이파의 차를 예약 주문하고도 계약한 날짜에 차를 받지 못한 소비자들이 행사장을 돌며 항의 시위를 벌여 주변이 뒤숭숭해지기도 했다.
참여 업체 관계자는 9일 "애초에 전시회에 참여하려 했던 회사들이 속속 취소한 것으로 안다"며 "미국의 제재로 여러 자동차 회사가 이란 시장에서 철수한 탓이다"라고 말했다.
2016년 1월 핵합의(JCPOA·포괄적공동행동계획)가 이행되면서 과거 이란 시장에서 경험이 풍부한 유럽 자동차 회사들이 앞다퉈 이란에 재진출했다.
이들은 이란 현지 자동차 회사와 합작 법인 설립에 수천만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으나 지난해 5월 미국 정부가 핵합의 탈퇴를 선언하고 대이란 제재를 복원하자 썰물처럼 이란을 떠났다.
프랑스 푸조·시트로엥 그룹(PSA), 독일 다임러, 스웨덴 스카니아, AB볼보 등이 이란 사업을 사실상 접었다.
이란에서 중국 브랜드의 차는 품질이 좋지 않다고 평가받지만 이른바 자동차 선진국의 회사가 이란을 떠나는 터라 중국의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다.




hska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