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ㆍ1운동.임정 百주년](20)3ㆍ1 마중물 2ㆍ8 선언 성지 가보니

입력 2019-01-29 06:00   수정 2019-01-29 07:37

[3ㆍ1운동.임정 百주년](20)3ㆍ1 마중물 2ㆍ8 선언 성지 가보니
지배국 수도서 '피의 싸움' 선언한 도쿄 조선 YMCA회관…지금은 세탁소 등 입주한 상업 건물
반성없는 日…만세운동 현장 히비야 공원에 '독도=일본땅' 전시시설

(도쿄=연합뉴스) 김병규 특파원 = 3.1운동이 일어나기 20여일 전 일본의 수도 도쿄(東京)의 간다(神田)에서는 세계 역사에서 예를 찾기 힘든 '독립선언'이 행해졌다. 식민지시대 피지배국 민중들이 지배국의 수도 한복판에서 감행한 '2.8독립선언'.
조선에서 일본에 건너온 유학생들이 목숨을 걸고 외친 이 조선 독립의 함성은 곧이어 조국에서 펼쳐진 3.1운동의 도화선이 됐다.


◇ 큰 눈 내린 2월 8일…600명 유학생 모여 "조선 독립"
도쿄 독립선언이 발표된 1919년 2월 8일은 30년만의 대설이라고 불릴 정도로 큰 눈이 내렸다.
당시 일본에 있던 한반도 출신 유학생은 678명. 조선 유학생들의 사랑방 역할을 하던 '재일본도쿄조선YMCA회관'(현 재일본한국YMCA회관)에는 도쿄의 모든 조선 유학생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인 400~600명이 모여들었다.
1906년 조선의 기독교인들이 일본에 와 세운 재일본도쿄조선YMCA회관은 망년회 등으로 당시 조선 유학생들이 자주 모였던 곳이다. 종교 단체인 만큼 상대적으로 일제의 감시가 느슨해 웅변대회가 자주 열렸고 이는 유학생들 사이에서 민족의식이 고취되는 계기가 됐다.
독립선언이라는 '거사' 논의가 본격화된 것은 그해 1919년 1월 6일이었다.
웅변대회 중 독립을 열망하는 연설이 이어지다가 구체적인 행동을 하자는 제안이 나왔고, 최팔용(와세다대), 서춘(도쿄고등사범), 백관수(세이소쿠 영어학교) 등 10명이 실행위원으로 뽑혔다.
10명의 실행 위원 중 1명이 질병을 이유로 사퇴하고 이후 이광수(와세다대) 등 2명이 추가돼 실행위원은 11명이 됐다.
당시 선언을 실질적으로 주도했고, 이후 독립가로 활동한 김마리아(도쿄여자학원), 황에스더(도쿄여자의학전문학교) 등 여성들은 실행위원으로 활동하지는 못했다.
선언문은 당시 소설가로 이름을 높였지만 후일 친일파로 변절했던 이광수가 작성했고, 일본어와 영어로도 번역돼 비밀리에 인쇄됐다.
드디어 2월8일이 되자 선언문은 제국의회 의원, 각국 대사관, 내외신 신문사 앞으로 '민족대화 소집 청원서'와 함께 배달됐다. 이어 오후 2시, 선언문이 발표됐다.


◇ '민족자결' 세계 흐름 먼저 읽은 유학생들…일제에 '피의 싸움' 선언
당시 유학생들은 어떻게 '적(敵)'의 수도인 도쿄 한복판에서, 그것도 조선 땅에서보다 먼저 독립선언을 외칠 수 있었을까?
전문가들은 집결 장소가 종교단체가 운영하는 재일본도쿄조선YMCA회관이었고, 조선보다 일본이 오히려 경찰의 감시에서 자유로운 분위기였던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한다.
당시 도쿄가 한성(서울)에 비해 외국의 소식을 접하기 쉬운 '국제도시'였던 것도 이곳의 유학생들 사이에서 독립 열망을 달아오르게 한 요인이다.
일본 유학생들은 당시 전세계적으로 퍼진 민족 자결주의의 흐름을 먼저 파악할 수 있었고, 곧 열릴 파리 강화회의가 우리 민족의 독립 의지를 세계에 알릴 기회라는 사실도 일찌감치 알게 됐다.
유학생들은 당시 민본주의와 민주주의 개혁을 주창하는 일본 내의 흐름, 즉 '다이쇼(大正) 데모크라시'의 영향을 일부 받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2.8독립선언문은 3.1독립선언서보다 더 강경하고 투쟁적인 내용을 담고 있었다.
선언문은 "한일합병이 우리 민족의 자유의지에서 나온 것이 아니며 우리 민족의 생존과 발전을 위협하고 동양의 평화를 교란한다"면서 독립을 주창했다.
그러면서 "이런 요구가 받아들여 지지 않을 경우 일본에 대해 '영원의 혈전(血戰·피의 싸움)을 선언한다. 이로써 발생하는 참화는 우리 민족의 책임이 아니다"고 힘을 주며 무력투쟁을 할 것임을 밝히기도 했다.
선언문은 이후 조선땅으로 전해져 3.1독립선언서의 기초가 됐고, 도쿄의 독립선언은 같은 뜻을 가진 조선인들에 용기를 줘 3.1운동의 도화선 역할을 했다.


◇ 독립선언 발표한 YMCA는 세탁소…기념비·자료실만 역사 지켜
3.1운동의 마중물 역할을 한 2ㆍ8 독립선언은 독립운동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재판 기록 등을 찾지 못해 관련 연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현재 남아있는 2.8독립선언의 기록은 대부분 한참 시간이 흘러 참가자들의 기억이 희미해진 뒤인 해방 이후 작성된 것들이다. 당시 신문기사나 경찰의 기록은 있지만, 운동에 참여했다 체포된 사람들의 재판 기록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도쿄 내 2.8독립선언의 흔적은 재일본한국YMCA회관(이하 도쿄YMCA회관) 앞에 세워진 2·8독립선언 기념비와 회관 한구석에 있는 2.8독립선언 기념 자료실 정도다.
독립선언이 발표됐던 장소인 재일본도쿄조선YMCA회관(도쿄 지요다[千代田]구 간다[神田] 소재)이 있던 곳에는 현재 세탁소와 사무실 등이 있는 상업시설이 들어섰다. 개인 소유의 건물이라 2.8독립선언과 관련한 어떠한 기념물도 없다.
재일본도쿄조선YMCA회관은 1923년 관동대지진 당시 불에 탔고, 현재의 도쿄YMCA회관은 여기서 도보로 10분가량 떨어진 곳에 새 보금자리를 잡아 지금까지 이어져 온다.


◇ 만세 외치다 끌려갔던 히비야 공원엔 '독도 도발' 전시관
유학생들이 선언문을 발표한 뒤 밖으로 나와 독립을 외친 히비야(日比谷)공원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일왕의 주거지인 황거(皇居) 인근에 위치한 히비야공원은 독립선언 직후인 2월 12일과 24일 각각 100명과 150명의 유학생들이 모여 만세운동을 했던 곳이다. 이들은 공원 내 소음악당 앞에서 만세를 외쳤던 것으로 알려졌다.
히비야 공원 어디에도 2.8독립선언의 현장임을 알리는 기념물은 없다.
오히려 공원 한 켠에 있는 시세이(市政)회관에는 일본 정부가 독도가 자신들의 영토라며 억지 주장을 펴는 '영토·주권전시관'이 버젓이 자리를 잡고 있다.
전시관에는 '독도가 일본 고유 영토'라는 주장을 하는 데 사용해 온 고문서와 고지도 등이 선전물들과 함께 전시 중이다.
"여러분, 다케시마를 아십니까"라는 말로 시작되는 영상물이 흘러나오고, 어린이들이 색칠할 수 있도록 독도를 일본의 영토로 넣은 지도와 색연필이 비치돼 있다.
일본 정부는 자국인뿐 아니라 외국인에게도 '독도=일본땅'이라는 주장을 적극 펴기 위해 외국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이곳에 작년 초 전시관을 개관했다.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은 과거 독도 침략을 자행한 일제의 식민지배에 대한 합법화 시도다.
100년전 조선 유학생들이 목숨을 걸고 조선 독립을 외쳤던 곳에 이런 전시관이 들어선 데에는 제대로 된 반성을 하지 않은 채 과거를 쉽게 잊어버린 지금 일본의 현실이 잘 드러나 있다.



bk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