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걸이 저 걸이 갓걸이…" 한국 농민운동 발상지는 진주

입력 2019-03-14 08:00   수정 2019-03-14 09:47

"이 걸이 저 걸이 갓걸이…" 한국 농민운동 발상지는 진주
양반사회 대한 분노·저항 깔려, 1862년 2월 첫 봉기 전국 확산
진주시와 지역 농민들 '제157주년 진주농민항쟁 기념식' 열어



(진주=연합뉴스) 최병길 기자 = "이 걸이 저 걸이 갓 걸이 진주 망건 또 망건…"
지금도 아이들이 흔히 부르는 이 전래 가요의 시작은 지금으로부터 157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노랫말은 1862년(철종 13년) 2월 경남 진주에서 농민항쟁을 이끈 류계춘(1815~1862)이 지었고, 당시 농민들이 농민운동을 하면서 불렀다.
'이 걸이 저 걸이 갓걸이'는 농민 한 사람 한 사람이 양반들 갓을 걸어 놓는 걸이에 불가하다는 말이다.
'진주 망건 또 망건'은 망건(網巾)은 당시 양반을 상징하는 것으로 진주엔 양반이 너무 많다는 뜻을 담고 있다.
노랫말 속엔 당시 양반사회에 대한 분노와 저항이 깔려있다.
1862년 조선 시대 말기엔 조세제도가 문란해졌다.
수령과 하급관리인 아전의 비리와 토호의 수탈이 심해지자 농민들은 분노하기 시작했다.
수탈과 착취에 맞서 처음 농민들이 봉기한 곳이 바로 진주였다.
진주농민항쟁은 1862년 2월 14일 진주시 수곡면 덕산장에서 처음으로 봉기해 삼남 지방을 비롯한 전국으로 퍼졌다.
진주농민항쟁기념탑은 2012년 진주시 수곡면 창촌리 창촌삼거리에 건립됐다.


이 기념탑에는 농민항쟁 당시 희생당한 110여명의 영령을 위로하고 농민항쟁 정신을 되새기는 조형물이 함께 있다.
수곡장터인 이곳은 농민항쟁이 시작되기 전인 2월 6일 많은 대중이 모여 항쟁의 방향을 정하는 등 여론을 주위로 확산시켜 나간 중요한 장소다.
'1862년 진주농민항쟁'의 저자인 김준형 선생은 항쟁 기념탑에 '당시 농민항쟁은 단순히 수탈에 대한 불만에 의해 폭발되었던 것만이 아니다. 그 밑바닥에는 당시의 사회체제를 바꾸려는 운동의 흐름이 있었다.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농민층의 사회운동은 더욱 거세어져 1894년 동학농민운동으로 이어지고 이후 일본 강점기에 농민운동으로 발전해 간다'고 썼다.
이 기념탑 바로 앞에는 당시 농민항쟁 주역인 류계춘을 비롯해 희생자들의 이름을 새겨놓은 기념돌이 함께 서 있다.
당시 농민항쟁 주역이었던 류계춘 선생의 기념비는 항쟁기념탑 인근 그의 고향인 진주시 대평면 당촌리 산 중턱에 후손들에 의해 2006년 세워졌다.
14일 진주시농민회, 진주시여성농민회, 진주시는 진주농민항쟁기념탑에서 제157주년 진주농민항쟁 기념식을 열었다.

choi21@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