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10명 중 7명 "경증질환으로 대형병원 가면 진료비 더 내야"

입력 2019-10-07 12:00   수정 2019-10-07 14:47

성인 10명 중 7명 "경증질환으로 대형병원 가면 진료비 더 내야"
대형병원 이용자 60% "의학적 필요성으로 이용"…11% "동네병원 못 믿어"


(서울=연합뉴스) 신재우 기자 = 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7명은 경증질환으로 대형병원을 이용한다면 진료비를 더 내야 한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병원 이용자 10명 중 6명은 중소형 병원의 권유나 수술·입원이 필요한 중병·사고 등 합당한 이유로 대형병원에 간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지난 8월 전국 성인남녀 3천70명을 대상으로 의료기관 이용 현황과 의식을 조사하고 결과를 7일 공개했다.
경증으로 대학병원 이용하면 진료비나 약값을 더 내는 것에 대한 입장을 물은 결과, '대학병원을 이용하는 사람이 비용을 더 부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응답은 70.8%로 '대학병원에 가든 동네의원에 가든 동일한 비용을 부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응답(20.1%)보다 3배 많았다. 9.0%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부담 가중이 바람직하다는 응답은 20대에서 50대로 올라갈수록, 거주 지역 규모가 클수록,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응답자의 92.1%는 최근 1년 이내 치료·검사·검진을 받기 위해 한 번이라도 의료기관을 이용한 적이 있었다. 방문 의료기관(복수응답)은 '동네의원' 85.3%, '치과의원·치과병원' 56.3%, '병원·종합병원' 48.0%, '한의원·한방병원' 33.8%, '보건소' 19.6%, '상급종합병원' 16.0%였다.
상급종합병원 이용 사유는 '동네의원이나 중소병원 의사의 의학적 권유'가 34.2%로 가장 많았고, '입원이나 수술이 필요한 큰 병에 걸리거나 사고를 당해서'(25.8%)가 두 번째였다. 이용자 10명 중 6명은 의학적 권유나 중병으로 대형병원을 이용한 것이다.
하지만 '의학적 소견은 없었으나 상급종합병원에서 치료나 검사·검진을 받고 싶어서'(16.8%), '동네의원이나 중소병원을 믿을 수가 없어서'(11.0%), '의료비가 낮아져서 이왕이면 상급종합병원에서 치료를 받으려고'(1.8%) 등의 의견도 있어, 질병의 경중에 상관없이 대형병원을 선호하는 경향도 여전했다.
최근 1년 이내 의료 이용량이 증가했는지 조사한 결과, 55.7%는 '1년 전과 비슷했다', 27.1%는 '늘어났다'고 답했다. 이용량 증가의 주된 이유는 '없었던 질병이 생겨서 치료나 검사·검진을 받으려고'(76.8%)였다. '특별히 아픈 곳은 없으나 의료비가 낮아져서'(4.8%)라는 응답은 많지 않았다.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으로 대형병원을 이용하는 환자가 많아졌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비용 부담으로 그간 치료를 못 받았던 사람들의 이용이 늘어난 것'이라는 평가가 49.8%로 '경증질환임에도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는 의견(37.6%)보다 많았다.
문재인 케어는 건강보험의 보장성을 강화해 환자의 의료비 부담을 줄여주는 정책이다. 하지만 의료이용 문턱이 낮아지면서 대형병원으로의 환자 쏠림 현상이 심화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보건당국은 이런 부작용을 완화하기 위해 감기 등 가벼운 질환으로 대형병원을 찾아가 외래진료를 받을 경우 본인 부담 의료비를 가중하는 방향으로 의료전달체계를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withwit@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