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일본차 판매 19% 감소…닛산 40%↓·토요타 37%↓

입력 2020-01-06 10:44   수정 2020-01-06 15:31

지난해 일본차 판매 19% 감소…닛산 40%↓·토요타 37%↓
작년 수입차 신규등록 24만4천780대…전년보다 6.1% 줄어
메르세데스-벤츠, 판매 1위 '수성'…베스트셀링카도 '벤츠 E300'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지난해 일본 제품 불매운동 영향으로 일본차 판매가 전년보다 20% 가까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는 지난해 전체 수입차 신규등록 대수가 24만4천780대로 전년보다 6.1% 감소했다고 6일 밝혔다.

작년 7월 시작된 일본 제품 불매운동 영향으로 일본 브랜드는 총 3만6천661대 팔려 전년(4만5천253대)과 비교해 19.0% 쪼그라들었다.
일본 브랜드 중 닛산은 작년 판매가 3천49대로 전년(5천53대)보다 39.7% 급감했고, 도요타는 1만6천774대로 36.7% 떨어졌다.
도요타의 고급 브랜드 렉서스(1만2천241대)는 8.2%, 닛산의 인피니티(2천대)는 6.1% 판매가 감소했다. 혼다(8천760대)는 유일하게 10.1% 증가했다.
작년 말 일본 브랜드들이 판매 회복을 위해 할인 등에 나서면서 12월 실적은 전년과 비교해 대부분 올랐다.
혼다가 130.7% 급증한 것을 비롯해 도요타(69.6%), 렉서스(61.8%), 닛산(12.9%)이 올랐고, 인피니티만 56.5% 감소했다.

지난해 전체 등록 대수를 브랜드별로 보면 메르세데스-벤츠가 7만8천133대로 전년에 이어 1위를 차지했다. 벤츠 판매는 10.4% 늘었다.
BMW는 4만4천191대로 2위를 지켰지만, 전년 대비 12.5% 감소했다. 렉서스는 8.2% 감소에도 3위에 올랐다.
이어 아우디(1만1천930대), 도요타(1만611대), 볼보(1만570대), 지프(1만251대), 미니(1만222대) 등이 1만대 이상 판매했으며 혼다, 포드(8천737대), 폭스바겐(8천510대), 랜드로버(7천713대), 포르쉐(4천204대), 푸조(3천505대) 등이 뒤를 이었다.
연간 배기량별 등록 대수는 2천㏄ 미만이 16만3천498대(66.8%)로 가장 많았고 2천∼3천㏄ 미만은 6만2천724대(25.6%), 3천㏄∼4천㏄ 미만은 1만3천623대(5.6%)로 집계됐다.
지난해 가장 많이 팔린 모델은 벤츠 E300으로 1만3천607대가 신규등록됐으며 벤츠 E300 4MATIC이 1만259대로 두 번째 자리에 올랐다.
이어 렉서스 ES300h(7천293대), 폭스바겐 아테온 2.0 TDI(5천595대), BMW 520(5천461대), 포드 익스플로러 2.3(4천537대) 등이 뒤를 이었다.
국가별로는 유럽이 18만4천147대(75.2%)로 가장 많았고 일본 3만6천661대(15.0%), 미국 2만3천972대(9.8%) 순이었다.
연료별로는 가솔린이 14만453대(57.4%)로 디젤(7만4천235대·30.3%)을 앞질렀다. 2017년에는 디젤 차량이 47.2%의 점유율로 가솔린(42.9%)보다 많이 팔렸지만 2018년 BMW 디젤 차량 화재 등 영향으로 2년 연속 순위가 바뀌었다.
지난해 하이브리드 차량은 2만7천723대가 신규등록돼 전년보다 8.7% 줄었고, 전기차는 2천369대로 전년(191대)보다 크게 늘었다.
구매 유형별로는 개인구매가 62.8%로 법인구매(37.2%)보다 많았으며, 개인구매의 지역별 등록은 경기(30.5%), 서울(24.1%), 부산(5.9%), 인천(5.6%) 순이었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 박은석 이사는 "지난해 수입차 시장은 일부 브랜드 물량 부족과 감소세 등으로 전년보다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dk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