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인당 국민소득 3만2천달러…10년만에 최대폭 감소

입력 2020-06-02 08:00   수정 2020-06-02 09:07

작년 1인당 국민소득 3만2천달러…10년만에 최대폭 감소


(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 = 지난해 달러화 기준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1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한국은행이 2일 발표한 '2018년 국민계정(확정) 및 2019년 국민계정(잠정)'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3만2천115달러(약 3천743만원)로 잠정집계됐다.
2018년의 3만3천564달러(3천693만원)에서 4.3% 감소했다. 원화 기준으로는 1.4% 증가했다.
이런 감소 폭은 금융위기 때인 2009년(-10.4%) 이후 최대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비교적 높지 않은 상황에서 지난해 원화 약세가 달러화 기준 소득을 끌어내렸다.
한국은 2017년에 3만1천734달러로,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를 열었다.
2020년 1인당 GNI는 명목 GDP가 얼마나 오르느냐, 환율이 얼마나 변동하느냐에 따라 3만 달러 유지 여부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
1인당 GNI는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통계다. 한 나라 국민의 생활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3만 달러는 선진국 진입 기준으로 인식돼왔다.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은 1만7천381달러(2천26만원)로, 2018년(1만8천63달러)보다 3.8% 감소했다.
PGDI는 국민이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소득으로, 실질적인 주머니 사정을 보여준다.
한은이 발표한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잠정치는 연 2.0%다. 올해 1월 발표한 속보치와 같다.
2018년 GDP 성장률 확정치는 연 2.9%로, 0.2%포인트 상향 조정됐다.
지난해 명목 GDP는 1천919조원으로, 1년 전보다 1.1% 증가했다. 명목 성장률은 외환위기 때인 1998년(-0.9%) 이후 21년 만에 가장 낮았다.
총저축률은 1.3%포인트 내린 34.7%다. 2012년(34.5%) 이후 가장 낮다.
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를 포함한 가계순저축률은 6.0%로, 0.2%포인트 하락했다.
국내총투자율은 0.3%포인트 내린 31.2%다.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값인 GDP 디플레이터는 0.9% 하락했다. 1999년(-1.2%) 이후 20년 만에 가장 큰 하락 폭이다.
노동소득분배율은 65.5%로, 2.0%포인트 올랐다. 한은이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53년 이후 가장 높았다.
노동소득분배율이란 한 나라에서 한해 생산활동으로 발생한 소득 가운데 자본을 제외한 노동에 배분되는 몫을 가리킨다. 급여, 즉 피용자보수를 국민소득(NI)으로 나눠 얻는다.
so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