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안 터지는 다중시설 40% 육박…LTE 속도도 느려져

입력 2020-12-30 11:00   수정 2020-12-30 11:33

5G 안 터지는 다중시설 40% 육박…LTE 속도도 느려져
속도는 SKT, 커버리지는 LGU+, 다중시설은 KT 각각 1위
과기부, 2020년도 통신서비스 커버리지 점검·품질평가 결과


(서울=연합뉴스) 조성흠 기자 = 5G 서비스가 상용화 1년 반이 넘으면서 서비스 커버리지와 품질이 개선되고 있지만, 고질적인 소비자 불만을 해소하기엔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조사 결과 전국 다중이용시설 중 5G를 이용할 수 있는 곳은 약 60%에 그친 와중에 LTE 속도마저 뒷걸음질했다.
5G 통신 속도는 SK텔레콤이, 서비스 커버리지는 LG유플러스가, 다중이용시설 망구축은 KT가 가장 뛰어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과 함께 실시한 2020년도 통신서비스 커버리지 점검 및 품질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5G를 포함한 품질평가는 올해 8월 발표된 상반기 조사에 이어 이번이 2번째로, 조사 대상은 서울 및 6대 광역시에서 전국 85개시 주요 행정동으로 확대됐다.

◇ 5G 제공 다중시설 사별 3천500개…비수도권 지하철역사 5G 구축완료
3사 평균 옥외 서비스 커버리지는 서울이 약 478.17㎢, 6대 광역시가 약 1천417.97㎢로, 임야를 제외한 주요 지역의 상당 부분에서 5G를 이용할 수 있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78개 중소도시는 약 3천513.16㎢로, 도심을 중심으로 서비스가 확대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85개시 커버리지 면적은 통신사별로 ▲ LGU+ 6천64.28㎢ ▲ SKT 5천242.68㎢ ▲ KT 4천920.97㎢였다. 이는 통신사가 공개한 커버리지 맵을 토대로 한 것으로, 점검 결과 과대 표시는 없었다.
주요 다중이용시설의 경우 85개 시 4천516곳 중 5G 이용 가능한 시설은 2천792개로 전체의 61.8%였다. 이들 시설에서 5G를 안정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면적 비율은 90.99%로 상반기 67.93%보다 높아졌다.
주요 다중이용시설 및 기타 시설을 포함해 5G 이용 가능한 시설은 3사 평균 3천486개로, 사별로는 ▲ KT 4천571개 ▲ SKT 3천814개 ▲ LGU+ 2천72개였다.
지하철 중 지하역사는 424곳에서 5G 서비스 이용이 가능해 상반기 313개보다 35.5% 늘어났다.
수도권 지하철은 전체 458개 중 50.9%인 3사 평균 233개에 5G 구축이 완료됐고, 비수도권 지하철은 모두 구축이 완료됐다.
주요 20개 고속도로 노선 102개 구간 중에서는 3사 평균 72개 구간에 5G가 구축됐다.

◇ 5G 평균 다운로드 속도 690Mbps… '투자 후순위' LTE 속도 하락
3사 평균 5G 다운로드 속도는 상반기(656.56Mbps) 대비 33.91Mbps 향상된 690.47Mbps였고, 평균 업로드 속도는 63.32Mbps였다.
사별 다운로드 속도는 ▲ SKT 795.57Mbps ▲ KT 667.48Mbps ▲ LGU+ 608.49Mbps였다.
5G 커버리지 내에서 5G 이용 중 LTE로 전환된 비율은 다운로드 시 평균 5.49%, 업로드 시 평균 5.29%로 상반기보다 개선됐다. 다운로드 기준 사별 전환율은 ▲ SKT 3.95% ▲ LGU+ 4.29% ▲ KT 8.22% 순이다.
한편 LTE 서비스는 평균 다운로드 속도 153.10Mbps(전년 158.53Mbps 대비 5.43Mbps↓) 평균 업로드 속도 39.31Mbps(전년 42.83Mbps 대비 3.52Mbps↓)로 서비스 이후 처음으로 속도가 하락했다.
이는 통신사들이 지난해부터 5G 투자에 집중하면서 상대적으로 LTE 투자를 줄인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와이파이 다운로드 평균 속도는 상용 서비스 381.32Mbps(전년 333.51Mbps), 개방 서비스 414.66Mbps(전년 374.18Mbps), 공공 서비스 335.41Mbps (전년 394.76Mbps)로 측정됐다.
유선인터넷의 주요 사이트 접속 소요시간은 500Mbps급 및 1Gbps급 서비스는 평균 0.63초(전년 0.77초), 100Mbps급 서비스는 0.64초(전년 0.80초)로 나타났다.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의 경우, 영상서비스 제공사업자(유튜브, 네이버TV, 카카오TV)의 다운로드 속도는 평균 19.36Mbps(전년 16.63Mbps)였다.

이번 품질평가 결과는 내년 초 스마트 초이스(www.smartchoice.or.kr)와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에 게시할 예정이다.
jos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