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장 더 넓게" vs "초소형으로"…교촌-BBQ 정반대 전략 승자는

입력 2021-02-01 07:15  

"매장 더 넓게" vs "초소형으로"…교촌-BBQ 정반대 전략 승자는


(서울연합뉴스) 이태수 기자 = "더 넓혀야 많이 판다", "더 작아야 경쟁력 있다."
치킨 프랜차이즈업계 매출 기준 1위 교촌치킨과 3위 BBQ가 정반대의 매장 전략을 구사해 눈길을 끈다.
1일 외식업계에 따르면 교촌치킨은 미래 성장을 위한 핵심 전략 가운데 하나로 '소형 매장의 중대형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소형 가맹점의 매장 내부 면적을 50㎡ 이상의 중대형으로 바꾸는 것이 골자다.
교촌치킨은 이 같은 중대형 매장 비율을 2019년 60%에서 2025년 90%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루 매출의 80∼90%를 책임지는 오후 8∼10시 피크타임에 주문을 소화할 수 있는 경쟁력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교촌치킨의 매장 수는 1천268개로 경쟁사인 BBQ(1천800여 개), BHC(1천550개)보다 적다.
교촌치킨 관계자는 "매장이 넓어지면 튀김기 등 주방 인프라를 늘릴 수 있다"며 "하루에 튀길 수 있는 닭 물량도 늘어나고, 피크타임에 몰려드는 주문도 감당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매출이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내점 손님을 맞는 홀도 커져 주류 판매로 추가 수입도 올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교촌치킨은 이런 점을 염두에 두고 주류업체 '인덜지'와 손잡고 일부 매장에서 수제 맥주를 시범 판매하고 있다.

반면 BBQ는 초소형 매장인 'BSK'(BBQ Smart Kitchen) 확대에 사활을 걸고 있다.
BSK는 26.4∼39.6㎡(8∼12평) 넓이의 소규모 매장으로 홀 고객은 받지 않고 배달과 포장만 전문적으로 하는 매장이다.
이 때문에 1억 원 이상을 투자해야 하는 일반 매장과 달리 5천만 원 안팎의 소자본으로 창업이 가능해 '퇴직자가 치킨집을 개업한다'는 고정관념과 달리 2030 창업자가 절반을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내점 고객을 받지 않기 때문에 굳이 번화가에 문을 열 필요가 없어 월 임대료 부담이 작은 것도 장점이다.
BBQ는 지난해 6월 BSK 1호점을 열었다. 공교롭게도 지난해부터 코로나19 사태로 배달·포장 수요가 폭증하면서 성공적인 사업 모델이 됐다고 BBQ는 자평했다.
BSK는 치킨 배달·포장에 집중하기 위해 탕·플래터(모둠 메뉴) 등 안주류와 피자 등 다른 일반 매장에서 다루는 메뉴 일부를 제외했다.
BBQ 관계자는 "현재 BSK는 매장당 월평균 매출이 5천만 원을 웃돈다"며 "올해 1천 곳을 새로 문 여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ts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