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국무부 부장관 방중 논의…北문제 진전에 中협력 필요"(종합)

입력 2021-07-17 02:48  

美 "국무부 부장관 방중 논의…北문제 진전에 中협력 필요"(종합)
"아시아 순방 마지막 일정에 추가할 수도"…대북정책 논의·조율 주력 전망


(워싱턴=연합뉴스) 임주영 특파원 = 다음 주 한국과 일본 등을 방문하는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부장관의 일정에 중국이 추가될 가능성이 남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미국은 북한 문제 진전을 위해 중국의 협력이 필요하다면서 이를 위해 중국에 갈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16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국의 한 고위관리는 미중이 셔먼 부장관의 방중 문제를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이 관리는 방중이 성사된다면 아시아 순방 막바지에 이뤄질 것이라면서 마지막 방문국인 몽골 일정에 여유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북한 문제와 관련, 미국은 북한에 대한 진전을 이루기 위해 어떤 방법으로든 중국과 협력할 필요가 있다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 정권을 다루는 것이 의제가 될 이번 순방 일정에 중국 방문을 추가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앞서 미 국무부는 셔먼 부장관이 18~25일 일본과 한국, 몽골을 차례로 방문한다고 14일 발표했다. 발표에서 중국은 빠졌다.
그러나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6일 한 소식통을 인용해 셔먼 부장관의 중국 방문이 여전히 추진 중이며 미국 측은 셔먼 부장관이 최고 의사결정권자들과 직접 접촉하기를 바란다고 보도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셔먼 부장관이 중국을 방문하지 않는 이유가 러위청(樂玉成) 중국 외교부 부부장과의 회담을 원했으나 중국이 거절했기 때문이라고 보도했다.


셔먼 부장관은 내주 순방에서 한미·한미일 연쇄 협의에 나선다.
방한에 앞서 일본을 찾아 21일 도쿄에서 '제8차 한미일 외교차관협의회'를 한다. 최종건 외교부 1차관이 참석하며 이 계기에 한일 차관회담도 열린다.
이어 21일 한국을 방문, 최 차관과 '제9차 한미외교차관 전략대화'를 한다.
연쇄 협의에서는 대북 정책과 대중 견제를 위한 양자·3자 간 협력 방안이 중점적으로 논의될 전망이다.
조 바이든 행정부는 중국을 전략적 경쟁자로 규정해 경제·안보 분야를 중심으로 각종 현안을 놓고 충돌해왔다. 특히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강하게 견제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은 중국과의 긴장 고조 속에서도 북핵 문제의 경우 협력 가능한 분야로 보고 있다. 미국은 중국이 북한 정권에 분명히 영향력을 갖고 있다고 평가해왔다.
북미 비핵화 협상이 교착된 가운데 바이든 행정부는 대북정책 검토를 끝내고 북한과의 외교에 관여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 건설적 응답을 기다린다는 입장을 보여왔다.
zo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