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본위제 폐지 50년…"금, 인플레 헤지 기대 못 미쳤다"

입력 2021-08-09 12:04  

금본위제 폐지 50년…"금, 인플레 헤지 기대 못 미쳤다"
주식보다 수익률 낮아…가상화폐 등장에 새로운 경쟁 직면

(서울=연합뉴스) 이귀원 기자 = 1971년 리처드 닉슨 당시 미국 대통령에 의한 금본위제 폐지 이후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금의 역할이 기대에 못 미쳤다고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저널은 금본위제 폐지 이후 한동안 인플레이션과 금값이 함께 뛰면서 많은 사람이 금을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이라고 믿게 됐지만 지난 50년간의 통계는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예컨대 지난 50년간 소비자물가지수 대비 금값의 비율은 최저 1에서 최고 8.4까지 출렁였다.
최근 이 비율은 6.5로, 50년간 평균치(3.6)의 거의 2배 수준이다.
다만 듀크대학 캠벨 하비 교수 등의 연구에 따르면 1세기 이상 오랜 기간에 걸쳐 측정하면 금이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꽤 괜찮다는 평가도 있다.
이와 별도로 금값은 지난 50년간 약 50배 오르는 데 그쳐 연평균 수익률이 주식 등에도 못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이 기간 금의 연평균 투자 수익률은 8.2%였지만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11.2%였다.
금 본위제 폐지 이후 금값이 급등한 초기 10년간을 빼고 보면 금의 연평균 수익률은 3.6%로 더 낮아 같은 기간 S&P 500(12.2%)은 물론 미 국채(8.2%)에도 못 미치는 수익률을 냈다.
다만 저널은 금이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위험 변동성을 줄여주는 역할은 했다고 전했다.
저널은 금이 앞으로 50년간도 주식·인플레이션과 불규칙한 상관관계로 어떤 기능을 수행할지 예측하기는 어렵다면서 특히 가상화폐의 출현으로 예전에는 경험하지 못한 경쟁에 직면한 상태라고 덧붙였다.
lkw777@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