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자동차 예산 4천709억원, 30% 증액…미래차 개발 본격 추진

입력 2021-12-14 11:00  

내년 자동차 예산 4천709억원, 30% 증액…미래차 개발 본격 추진
산업부, 수소 상용차 핵심부품 개발 등 신규 사업에 1천677억원 편성



(서울=연합뉴스) 권혜진 기자 = 정부가 전기·수소·자율차 등 미래차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내년도 자동차 예산 예산을 대폭 확대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국회 의결 과정에서 자동차 분야 내년도 예산이 올해 3천615억원보다 1천94억원 증액된 4천709억원으로 최종 확정됐다고 14일 밝혔다.
작년보다 30.2% 늘어난 규모다.
자동차 분야 예산은 2019년 2천53억원, 지난해 3천167억원, 올해 3천615억원, 내년 4천709억원으로 매년 증가 추세다.
세부 예산을 들여다보면 미래차 기술 연구·개발(R&D)에 전체 예산의 대부분인 4천157억원이 편성됐으며, 특히 신규 사업예산으로 1천677억원이 배정됐다.
산업부는 이를 통해 내연기관 부품업체의 미래차 분야 전환 지원과 전기·수소차 대중화, 하이브리드차 수출 전략화,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신기술 및 자율주행 등 미래차 산업 육성과 기술개발을 집중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전기차는 1회 충전 주행거리를 2025년 600㎞까지 확보하기 위해 배터리 시스템과 주행효율 향상 등 핵심 기술 개발을 지속해서 추진한다. 구체적으로 시장자립형 3세대 전기차(xEV) 산업 육성과 미래형 자동차 튜닝 부품 기술개발에 각각 591억원과 70억원을 투입하고, 전기차용 폐배터리 재사용 사업화 기술 개발에 30억원을 신규 편성했다.
수소차 분야에선 수소 상용차 핵심 부품 사업에 90억원, 수소모빌리티 확대를 위한 개방형 연료전지시스템 설계검증 플랫폼 기술개발에 48억원을 각각 신규 편성하고 수소 상용차용 핵심부품 국산화와 다양한 모빌리티에서 연료전지를 활용하는 개방형 플랫폼 개발을 추진한다.
이처럼 전기·수소차 중점 보급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는 동시에 미래차로의 급속한 전환이 어려운 부품업계의 현실을 고려해 하이브리드차를 수출 전략차종으로 육성하기 위한 부품 성능 고도화 기술 개발도 지원한다.
이를 위해 스포츠유틸리티차(SUV)용 하이브리드 시스템 고도화 기술 개발에도 37억원을 새로 책정했다. 아울러 전 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에 발맞춰 환경규제 대응 기술개발과제(그린카)에 220억원을 신규 편성하고, 전기이륜차·전동킥보드·교통약자 이동수단 등 다양한 친환경 퍼스널 모빌리티 핵심기술 개발 실증 등에도 예산을 새롭게 편성하거나 확대함으로써 중소부품업체의 사업 다각화를 지원한다.
자율주행차 분야에서는 2027년 완전 자율주행 세계 최초 상용화를 목표로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에 362억원(작년보다 162억원 증액), 미래차 디지털 융합 산업 실증 플랫폼 구축에 96억원(91억원 증액), 자율셔틀 인포테인먼트 기술 개발 및 서비스 실증에 78억원(38억원 증액)을 각각 편성하고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를 본격 추진한다.
초고난도 자율주행모빌리티 인지예측센서 기술개발(58억원 신규 편성) 등을 통한 ICT 융합 시도도 지원한다.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과 관련해서는 차량용 반도체 핵심 기술 개발 등을 통해 공급망 안정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수요기반형 고신뢰성 자동차 핵심기술개발에 48억원의 예산을 새롭게 배정했다.
미래차 준비 여력이 부족한 중소·중견 부품업체 사업 전환을 돕기 위한 '전환기 대응 R&D'도 신규 추진한다.
이 외에 자동차 업계의 애로 사항으로 손꼽히는 인력부족 해소 지원을 위해 인력 양성 지원 규모를 올해의 1천100명에서 내년에는 2천300명으로 대폭 확대한다.
또 부품기업에 대한 이차보전사업을 신설하고, 미래차 전환 설비투자 및 인수합병(M&A) 자금 대출 시 금리의 2%를 보전해준다. 정부는 이를 위해 내년에 총 1천700억원을 융자금으로 편성했다.
산업부는 신규 추진 사업과 관련해선 내년 1월 중 산학연을 대상으로 사업별 선정 공고를 내고 4월 중 예산 조기 집행에 나설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급격한 자동차 시장 변화 속에서 우리 기업들이 미래차 시장에서도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핵심기술 확보와 인프라 구축 등의 정책적 지원을 지속해서 하겠다"고 말했다.
luc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