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방검찰, '스푸핑' 사기 의혹 공매도 투자자들 조사"

입력 2022-02-17 08:34  

"미 연방검찰, '스푸핑' 사기 의혹 공매도 투자자들 조사"
WSJ 보도…저명 공매도 투자자들 상대로 압수수색


(뉴욕=연합뉴스) 강건택 특파원 = 미국의 일부 공매도 투자자가 기업에 타격을 주는 내용의 보고서를 이용해 주가를 끌어내리는 불법 거래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연방검찰이 조사 중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연방 법무부는 공매도 투자자들 사이에서 광범위한 불법 거래 음모가 있었다는 의혹을 확인하기 위해 해당 투자자들의 컴퓨터 하드웨어, 매매 기록, 통화 내역 등을 압수했다.
미 연방수사국(FBI)은 지난해 10월 헤지펀드 '머디 워터스'의 공매도 투자자 카슨 블록의 휴대전화 등을 압수수색했다고 이 사안을 잘 아는 소식통이 밝혔다.
또 다른 저명 공매도 투자자 앤드루 레프트의 컴퓨터도 수사당국에 압수된 것으로 전해졌다.
로스앤젤레스 연방검찰청이 주도하는 이번 수사의 주된 타깃은 '스푸핑'과 '스캘핑' 수법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스푸핑이란 짧은 시간에 대량의 허위 주문을 낸 뒤 곧바로 취소해 가격을 교란하는 기법을, 스캘핑은 공매도 투자자가 자신의 포지션을 숨긴 채 이득을 챙기는 수법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스푸핑에 가담한 투자자가 직전에 10.03달러에 거래된 종목을 10달러에 팔겠다고 대량으로 매도 주문을 한 뒤 다른 투자자들이 여기에 맞춰 매도 호가를 같이 내리면 자신의 매도 주문은 곧바로 취소하고 대신 10달러에 이 종목을 매수해 이득을 챙길 수 있다.
지난 2010년 스푸핑을 법으로 금지한 이후 지금까지 법무부는 20명을 관련법 위반으로 기소하고, 10억달러 이상의 벌금을 부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러한 공매도 기법을 비판해온 조슈아 미츠 컬럼비아대 로스쿨 교수가 이번 수사와 관련해 법무부에 조언하고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미츠 교수가 과거 발표한 연구 논문에는 특정 종목에 대한 공매도업체의 부정적인 보고서가 발표된 순간 대량의 매도 주문이 거래소에 접수됐다가 몇 초 내로 취소되는 스푸핑 의심 사례가 담긴 바 있다.
지난 2018년 공매도업체의 부정적인 보고서 발간 후 하루 39%의 주가 폭락을 겪었던 팜랜드 파트너스의 폴 피트먼 최고경영자(CEO)는 WSJ에 "법무부가 이 사안을 조사한다는 소식에 매우 기쁘다"며 "우리 주주들은 조직적인 공매도 왜곡 범죄의 피해자"라고 말했다.
그러나 수사 대상에 오른 투자자들은 기업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알리는 '행동주의 공매도'를 무조건 시장 조작 행위로 볼 수는 없다고 항변한다.
실제로 과거 엔론의 대형 회계부정 사태 등 기업의 사기 의혹을 공매도 투자자들이 밝힌 전례가 있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firstcircl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