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 인지기능에 영향"

입력 2022-04-13 10:47  

"성격, 인지기능에 영향"




(서울=연합뉴스) 한성간 기자 = 성격이 노년의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의 요네다 토미코 심리학 교수 연구팀이 1990년대부터 시작된 '장기 기억-노화 연구' 참가자 1천954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12일 보도했다.
이 자료 가운데는 참가자의 성격적 특징을 평가하는 표준 설문조사 결과와 최장 24년에 걸쳐 매년 시행한 인지기능 테스트 결과가 포함돼 있다.
전체적으로 신중한 성격(체계적이고, 자제력이 있고 생산적인)의 소유자는 치매의 전단계에서 나타나는 경도인지장애(MCI: mild cognitive impairment) 위험이 낮은 반면 성급한 성격(신경이 과민하고 기분 변화가 심하고 상처받기 쉬운)의 소유자는 MCI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경도인지장애란 기억력 등의 인지기능이 같은 연령대의 다른 노인들보다 떨어진다는 것을 본인도, 주변 사람들도 모두 인정하지만,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큰 지장이 있을 정도는 아닌 상태를 말한다. 그러나 경도인지장애는 치매로 이행될 가능성이 크다.
신중한 성격 점수가 6점 올라갈 때마다 MCI 위험은 22% 낮아지고 성급한 성격 점수가 7점 올라가면 MCI 위험은 12%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중한 성격을 지닌 사람은 또 성급한 성격의 소유자보다 기대 수명이 길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이처럼 성격이 인지기능과 연관이 되는 이유는 운동에서 흡연에 이르기까지 건강과 관련된 선택을 결정하는데 성격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를테면, 신중한 성격을 지닌 사람은 식습관이 건전하고 운동을 하고 흡연을 피할 가능성이 큰 반면 성급한 성격을 지닌 사람은 건강에 좋지 않은 선택으로 걱정, 우울감, 감정적 불안을 겪을 위험이 크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이 연구 결과에 대해 플로리다 주립대학 의대의 앤젤리나 수틴 행동과학과 교수는 생활 습관과 관련된 행동은 식생활, 운동, 흡연만이 아니라 새로운 경험의 추구, 사회적 활동 같은 뇌 건강에 도움이 되는 행동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심리학 협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학술지 "성격-사회심리학 저널'(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skh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