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정상회담 '긴장완화' 기대감에 중화권 증시 강세

입력 2022-11-15 13:03   수정 2022-11-15 13:40

미중 정상회담 '긴장완화' 기대감에 중화권 증시 강세



(서울=연합뉴스) 차병섭 기자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첫 대면 정상회담에 따른 미중 긴장 완화 기대감 등에 힘입어 15일 중화권 증시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한국시간 이날 오후 12시 35분 현재 홍콩 항셍지수는 3.24% 급등했으며, 홍콩에 상장된 중국 본토 기업들로 구성된 홍콩H지수(HSCEI)도 3.79% 뛰어올랐다.
중국 본토 상하이종합지수는 1.27%, 선전성분지수는 1.43% 각각 상승했다.
블룸버그는 중국 정부가 최근 내놓은 부동산 대책에 대한 낙관론이 이어지는 가운데 전날 바이든 대통령과 시 주석이 정상회담에서 긴장 완화에 대해 논의한 점 등이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바이든 대통령과 시 주석은 전날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3시간여 동안 첫 대면 회담을 하고 긴장 격화가 충돌로 이어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소통과 원칙 마련 필요성에 공감하는 등 갈등 완화 가능성을 보였다.
이날 오전 발표된 중국 경기 지표가 부진했지만, 증시 상승세를 막지는 못했다.
중국의 10월 소매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0.5% 줄었다. 이는 9월(+2.5%)은 물론 로이터통신이 집계한 시장 전망치인 1.0% 증가에 못 미치는 것으로, 코로나19로 상하이가 봉쇄됐던 지난 5월 이후 첫 감소다.
10월 공업 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5.0% 늘었지만, 이 역시 9월(+6.3%)은 물론 로이터가 집계한 시장전망치 5.2% 증가에 못 미쳤다.
대만도 자취안지수가 2.44% 상승 중이다.
'투자의 달인' 워런 버핏의 버크셔해서웨이가 3분기에 대만 증시 대장주인 세계 1위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기업 TSMC 주식을 41억달러(약 5조4천300억원) 이상 사들였다고 밝힌 가운데, TSMC 주가는 7.42% 급등했다.
레이얼 브레이너드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 부의장의 기준금리 관련 발언도 시장에서 주목을 받았다.
브레이너드 부의장은 전날 인터뷰에서 기준금리 인상 속도가 느려질 것이라고 예고하면서도 인상 속도의 조절이 곧 통화긴축 정책의 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단서를 달았다.
같은 시간 한국 코스피는 0.03% 내린 반면 코스닥은 1.30% 상승 중이고, 일본 닛케이평균주가(닛케이225)는 0.15% 올랐다.
아시아 각국 통화 가치도 강보합세다.
같은 시간 원/달러 환율은 전장보다 4.11원 내린 1,322.506원을 기록 중이다.
중국 역내 위안/달러 환율은 0.0165위안 하락한 7.0525위안, 역외 위안/달러 환율은 0.0183위안 내린 7.0495위안이며, 엔/달러 환율도 0.09엔 하락한 140.46엔대에서 움직이고 있다.
bsch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