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물가품목 10개중 9개 값 올랐다…'서민연료' 등유 56%↑

입력 2023-01-01 05:31  

작년 물가품목 10개중 9개 값 올랐다…'서민연료' 등유 56%↑
무 39%↑·식용유 36%↑…체감물가, 24년만에 최고 상승
기재부 최우수정책에 '물가대응' 꼽혔지만…국민 73% '체감 못 해'



(세종=연합뉴스) 차지연 박원희 기자 = 지난해 소비자물가 구성 품목 10개 중 9개는 가격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서민 연료' 등유가 가장 많이 오른 가운데, 무, 식용유, 배추 등 구입 빈도가 높은 생활 물가 품목들도 고공행진을 펼치면서 실제 체감 물가는 더욱 높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물가 구성 품목 458개 중 가격이 오른 품목은 395개로 86.2%에 달했다.
10개 중 9개꼴로 상승한 것으로, 물가 상승세가 전방위적으로 확산하는 모습이었다.
품목별로 보면 등유가 한 해 동안 56.2%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등유 대신 항공유 생산이 늘어 공급량이 줄고 난방용 수요가 증가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등유 가격 상승세는 서민에 큰 부담이 됐을 것으로 보인다.
등유는 도시가스가 공급되지 않은 농어촌이나 지방 소도시의 노후 주택에서 난방용으로 사용돼 '서민 연료'로 꼽힌다.
등유 다음으로 무(38.6%), 식용유(35.8%), 배추(35.7%), 경유(31.9%) 등도 크게 뛰었다.
지난해 전체 소비자물가는 전년 대비 5.1% 올라 외환위기 때인 1998년(7.5%) 이후 24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국민이 체감하는 물가 상승세는 더 컸을 것으로 보인다.
가계의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 비중이 높은 항목을 중심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6.0% 올랐다.
상승률이 전체 소비자물가(5.1%)보다 더 높았다.
생활물가지수 상승률도 외환위기 때인 1998년(11.1%) 이후 24년 만에 최고다.
품목별로 보면 144개 중 125개(비중 86.8%)가 올랐다.
무·식용유·배추·경유 등을 비롯해 국수(30.5%), 소금(22.4%), 감자(20.5%), 수입 쇠고기(18.3%) 등의 오름폭이 컸다.



지난해 우리나라 물가상승률이 미국, 유로존 등 주요 국가보다 낮았으나, 가계가 체감하는 어려움은 그에 못지않았을 것으로 보이는 대목이다.
기획재정부는 2023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면서 정책적 노력 등에 힘입어 주요국과 비교해 물가 상승률을 낮은 수준으로 제어했다고 자평한 바 있다.
기재부는 '민생·물가 안정에 총력 대응'이 국민이 선택한 기재부 최우수정책으로 선정됐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는 현실과 동떨어졌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윤미향 의원과 소비자권익포럼이 지난해 10월 초 전국 만 19∼69세 1천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인식 조사를 시행한 결과, 응답자의 73.0%는 정부 대책에 따른 물가 안정 효과를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변한 바 있다.
그간 정부가 억누른 공공요금이 내년부터 인상되면서 가계의 시름은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장용성 서울대 교수는 지난해 발표한 논문에서 우리나라 물가상승률이 주요국보다 낮은 이유 중 하나로 정부의 공공요금 인상 억제를 꼽으며, 이를 반영하면 (2021년 12월 기준) 물가상승률이 추가로 전년 동월 대비 1.25%포인트 올라갈 것으로 추산한 바 있다.



최근 정부와 한국전력[015760]은 1분기 전기요금을 인상하면서 이로 인해 물가 상승률이 0.15%포인트 올라갈 것으로 예상했다.
추가 전기·가스요금 인상도 예고된 상황이다.
정부는 전기·가스요금의 상당 폭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한전은 국제 에너지 가격 인상분을 반영하지 못해 적자가 누적됐으며, 이 과정에서 회사채를 대량으로 발행한 것이 금융시장 교란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서울시 등 지방자치단체들도 대중교통 등 공공요금 인상을 계획하고 있다.
이는 국민 생활과 밀접한 품목이라는 점에서 체감 물가 폭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성태윤 연세대 교수는 "물가 상승 요인에는 글로벌 요인이 많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물가 상승률이 다른 나라에 비해 낮은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면서도 "국민이 체감하는 물가는 다른 국가와 큰 차이 없이 상당한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전기요금을 비롯한 공공요금 인상을 앞두고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고 그만큼 국민이 체감하는 어려움은 더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encounter2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