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값싼 러 드론에 고가 미사일로 요격"…우크라의 딜레마

입력 2023-01-05 11:14   수정 2023-01-05 11:54

"값싼 러 드론에 고가 미사일로 요격"…우크라의 딜레마
NYT "드론 2천500만원, 미사일은 1억~6억원…우크라, 효율성 고심"


(서울=연합뉴스) 유철종 기자 = 우크라이나가 자국 기간시설을 노린 러시아의 무인기(드론) 공격을 상당히 성공적으로 막아내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값싼 드론을 격추하는 데 이용되는 방공미사일 등의 비용이 너무 커 고심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달 31일에서 새해 첫날 동안 우크라이나군은 러시아가 자국으로 발사한 드론 80여 대를 모두 격추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크라이나 공군 대변인은 "이 같은 결과는 이전에는 결코 달성하지 못했던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런 성과가 우크라이나에 마냥 유리한 것만은 아니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우크라이나의 전쟁 수행을 지원하는 현지 컨설팅 회사 몰파의 아르템 스타로시크 대표는 "무인기를 발사하는 비용보다 미사일로 격추하는 데 최대 7배 이상의 비용이 든다"고 추산했다.
일부 분석가들은 바로 이러한 비용의 불균형이 크렘린궁이 기대하는 '방정식'이라고 지적한다.
지난해 10월부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공습에서 크게 의존하고 있는 이란제 '샤헤드-136' 드론은 비교적 단순한 장치로 가격이 저렴한 반면 이를 격추하는 데 사용되는 무기들은 가격이 훨씬 비싸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란제 자폭 무인기는 생산 비용이 2만 달러(약 2천500만 원) 정도에 불과하지만 이를 요격하기 위해 지대공 미사일을 발사하는 비용은 소련제 S-300 미사일의 경우 14만 달러(약 1억7천만 원), 미제 첨단 지대공미사일 '나삼스'(NASAMS)는 50만 달러(약 6억3천만 원)에 이른다.

우크라이나군은 한동안 대공포와 더 작은 소형무기들을 사용해 러시아 드론을 어느 정도 성공적으로 격추할 수 있었지만, 최근 들어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의 레이더망을 피하려고 야간에 저공으로 드론을 발사하면서 요격이 한층 어려워졌다.
이 때문에 현재 우크라이나는 주로 전투기와 지상에서 발사하는 미사일로 러시아 드론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미 해군분석센터(CNA)의 러시아 연구책임자 마이클 코프먼은 우크라이나가 소련제 미사일이나 서방이 지원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미사일 등을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미사일들은 상당히 고가로 대규모 사용이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미사일 사용을 줄이는 것도 해법이 될 수 없다는 데 더 큰 고민이 있다.
미국 전쟁연구소(ISW) 연구원 조지 바로스는 우크라이나가 민감하고 중요한 인프라를 보호하기 위해 더 정밀하고 비싼 방공미사일을 배치하고 있다고 전했다.
몰파의 스타로시크 대표는 "어쨌든 드론을 격추하는 것이 파괴된 발전소를 수리하는 것보다 훨씬 비용이 적게 든다"면서 또 "사람들을 살리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러시아는 지난해 9월 이후 지금까지 우크라이나에 약 600대의 드론을 발사한 것으로 추산된다.
최근엔 러시아와 이란이 러시아 현지에 드론 공동 생산 시설을 설립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라는 보도도 나왔다.
영국 싱크탱크 채텀하우스의 유라시아 프로그램 자문위원 마티외 불레그는 "이 같은 계획은 우크라이나의 방공 시스템에 더 많은 스트레스를 줄 것"이라면서, 우크라이나가 최근 러시아 내륙 군사 기지들을 타격하는 전술을 택한 것도 이 같은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시도라고 분석했다.
cjyou@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