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야 유적에 177㎞ 도로망…초기 문명 생각보다 훨씬 복잡"

입력 2023-02-17 09:13  

"마야 유적에 177㎞ 도로망…초기 문명 생각보다 훨씬 복잡"
'고대메소아메리카'에 실려…"세계 최초의 고속도로 시스템"
"도시들 거미줄처럼 연결…지역 간 상호작용 위한 도로"


(서울=연합뉴스) 최재서 기자 = 177㎞ 규모의 도로망이 마야 초기 문명사회를 거미줄처럼 연결하고 있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미국 CNN 방송이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저널 '고대메소아메리카(Ancient Mesoamerica)'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리처드 한센 아이다호주립대 인류학 교수 등 연구진은 라이다(LiDAR) 기술을 통해 북부 과테말라 미라도르-칼라크물 카르스트 분지에서 1천683㎢의 마야 유적지를 확인했다.
라이다는 광파를 쏴 거리 등을 측정함으로써 지형을 정밀하게 그려내는 기술로, 이 일대의 울창한 우림 속에 숨은 2천 년 전 흔적을 파악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유적지는 정착지 964곳으로 구성됐으며 상호연결된 도시와 마을 417곳으로 나뉜다.
눈에 띄는 것은 유적지에서 각 지역사회를 연결하는 전체 177㎞ 길이의 둑길이 발견됐다는 점이다.
둑길은 석회암 시멘트 여러 겹 사이사이 진흙과 원석의 혼합물이 들어간 구조로, 피라미드 건설과 유사한 과정을 거쳤을 것으로 추정됐다.
둑길 일부는 폭이 미식축구 경기장 절반 수준인 40m에 달했고 하얀 회반죽이 도로 위에 두껍게 펴 발라진 상태였다. 어두운 밤중에도 회반죽에 반사된 달빛으로 시야를 확보하려 한 것이다.
이러한 둑길은 초기 마야 문명이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훨씬 더 복잡한 사회였을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연구진은 분석했다.

한센 교수는 "(둑길은) 세계 최초의 고속도로 시스템"이라며 "놀라운 건 (이 둑길들이) 모든 도시를 마치 거미줄처럼 결합해 서반구 최초의 국가사회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마르첼로 카누토 툴레인대 중미연구소 인류학 교수도 "(둑길은) 확실히 사람들의 상호작용과 소통, 지역 간 여행을 위해 만들어졌다"고 분석했다.
이어 둑길 건설에 "많은 사람과 대규모 노동력, 조직이 필요했을 것"이라며 일종의 계층구조가 요구되는 복잡한 작업이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그는 다만 "마야 지역에는 짐을 나르는 짐승이 없어 로마처럼 바퀴 달린 탈 것이 지나다녔을 것으로 보진 않는다"라고도 덧붙였다.
이번 연구에 사용된 라이다 기술은 2015년부터 초기 마야 문명을 탐사하는 데 사용되기 시작했다.
한센 교수의 연구팀은 이달 라이다 기술을 통해 정착지를 추가 파악해 마야 문명 연구를 지속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acui721@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