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16일 27분간 위성 관련 대만 북쪽 비행금지구역 설정"(종합2보)

입력 2023-04-12 19:05  

"中, 16일 27분간 위성 관련 대만 북쪽 비행금지구역 설정"(종합2보)
"위성 발사 낙하물 관련된 듯…당초 사흘 설정했다가 대만 항의에 축소"
대만 영공 바깥 방공식별구역



(홍콩=연합뉴스) 윤고은 특파원 = 중국이 오는 16∼18일 대만 북쪽 상공에 항공우주 활동과 관련해 비행금지구역(no-fly zone)을 설정했다가 대만의 항의로 이를 16일 오전 27분간으로 축소했다고 대만 교통부가 12일(이하 현지시간) 밝혔다.
로이터·AFP 통신에 따르면 대만 교통부는 중국이 애초 대만 북부 비행 통제 기간을 14∼16일 사흘간 매일 7시간씩으로 설정했지만, 대만이 불만을 제기하자 16일 오전 9시 30분부터 27분간으로 줄였다고 발표했다.
그러면서 비행 안전 보장을 위해 필요한 조정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만 국방부도 사전에 중국의 비행금지구역 설정 계획을 인지하고 면밀히 주시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의 그러한 조치는 위성 발사 등 항공우주 활동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면서 "관련 부서에서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로이터에 따르면 한국 국토교통부 관리는 중국으로부터 인공위성 발사체 낙하물이 대만 북쪽에 떨어지는 것과 관련해 16일 오전 27분간 비행 통제를 가한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말했다.
대만 국방부 정보차장인 옌유셴 중장은 중국이 설정하려는 비행금지구역이 대만에서 북쪽으로 약 85해리(약 157㎞) 떨어져 있으며, 대만 방공식별구역(ADIZ) 안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영공은 통상 영토에서 12해리(약 22㎞)까지여서 대만 국방부 발표대로라면 이번 비행금지구역은 대만 영공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옌 중장은 "우리 모두는 대만 북부에서 일본과 미국으로 향하는 국제선 항공기가 많다는 것을 안다"고 밝혔다.
최근 차이잉원 대만 총통과 케빈 매카시 미국 하원의장의 회동 이후 중국군이 사흘간의 대규모 대만 포위 군사훈련을 실시하면서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간 긴장이 고조된 상태다.
그러나 AFP는 이번 비행금지구역 설정은 중국군의 군사훈련과 연관된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고 설명했다.
앞서 이날 로이터는 중국이 16∼18일 대만 북부에 비행금지구역을 설정할 계획이라고 4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로이터는 중국 바깥 지역의 관리들이 익명을 전제로 이같이 밝히면서 이 같은 비행 금지 구역 설정이 대만 북쪽 비행정보구역(FIR)을 교란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 사안에 대한 직접적인 지식이 있는 한 고위 관리는 해당 비행 금지 조치가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사이, 대만과 한국·일본·북미 사이를 오가는 항공편 60∼70%에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말했다고 덧붙였다.
또한 중국의 비행금지구역을 설정하는 16일 일본에서는 주요 7개국(G7) 외교장관회담이 열린다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는 해당 보도와 관련해 중국 당국의 사전 통보가 있었다고 밝혔다.
다만 해당 구역은 일본의 영역 바깥으로 설정됐다며 영해 항행 경보와 관련해서는 중국의 통보가 없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중국 외교부 왕원빈 대변인은 해당 보도에 대해 아는 바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