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문제 北 끌어들인 러, 한반도 실력행사 위협…북러 밀착 심화

입력 2023-04-20 15:26   수정 2023-04-20 17:11

우크라문제 北 끌어들인 러, 한반도 실력행사 위협…북러 밀착 심화
韓 무기지원 가능성에 北 군사지원 운운하며 압박 수위 높여


(서울=연합뉴스) 최재서 기자 = 한국의 우크라이나 군사 지원 가능성이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러시아가 북한을 대놓고 끌어들이며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
한반도 문제에 대한 입장 변화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을 넘어 북한에 대한 무기 지원까지 공개적으로 언급하며 북한과의 밀착을 노골화하는 모습이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조건부 무기 지원 가능성을 시사한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에 반발하며 연일 북한 문제를 거론하고 있다.
19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최측근인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이 먼저 대북 무기 지원을 끌어들이며 경고장을 보냈다.
그는 "그 나라(한국) 국민이 러시아의 최신 무기가 그들(한국)의 가장 가까운 이웃이자 파트너인 북한의 손에 있는 것을 볼 때 뭐라고 할지 궁금하다"고 위협했다. 그러면서 "'퀴드 프로 쿼'(quid pro quo·주고받는 대가)"라고도 언급했다.
주한 러시아 대사관도 같은 날 해당 발언이 "한반도 안보 상황의 맥락에서 우리의 양자 상호 작용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마리야 자하로바 외무부 대변인은 20일 윤 대통령의 발언이 국가 간 관계에 있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경고하며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갔다.
그는 "한국의 경우 이는 한반도 문제 해결에 대한 입장에 관한 것일 수 있다"고 언급, 한반도 상황을 두고 실력행사에 나설 수 있음을 내비치며 북한을 매개로 한국에 대한 압박 수위를 한층 높였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적 지원 문제를 놓고 한반도 상황을 지렛대로 북한과의 밀착을 강화하며 우리 정부를 위협하는 흐름이 연출, 한반도 긴장 고조가 우려되는 상황인 셈이다.
북러간 밀착 양상은 지난해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계속돼 왔다.
북한은 작년 3월 유엔총회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규탄 결의안이 141개국의 압도적 찬성으로 통과됐을 때 반대표를 던진 5개국 중 하나다.
같은 해 7월에는 우크라이나 내 친러 분리주의 세력인 도네츠크인민공화국(DPR)과 루한스크인민공화국(LPR)을 독립국으로 인정하고, 돈바스 지역 재건 사업에 북한 노동자를 참여시키는 방안을 추진했다.
이 밖에도 미국 등 서방이 우크라이나를 비호한다고 비난하며 자국과 크게 관련 없는 문제에도 러시아 입장을 옹호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북한은 인정하지 않고 있지만, 전쟁 시작 이후 북한이 러시아군을 지원하고 있다는 의혹 역시 꾸준히 제기됐다.
미국은 작년 9월부터 러시아가 북한에서 포탄과 로켓 수백만발을 사들이고 있다고 주장한 바 있으며 11월 "북한이 러시아에 상당량의 포탄을 은닉해 제공했다는 정보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그해 12월 미국은 북한이 러시아 민간 용병업체 와그너그룹에 보병용 로켓과 미사일 등 무기와 탄약을 판매했다고 밝혔고, 올해 관련 위성 사진도 공개했다.
올해 3월 들어서는 러시아 인터넷 매체가 북한이 러시아를 지원하기 위해 의용군을 파견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당국은 지난달 30일 러시아가 북한에 식량을 주는 대가로 추가로 탄약을 확보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며 북러간 상호 필요한 물품의 교환거래 추진에 관여한 슬로바키아 국적의 무기상을 제재 대상에 올리며 북러 양국의 행위에 강력하게 경고하기도 했다.


이렇듯 북한이 러시아에 적극적으로 손을 내미는 가운데 러시아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상임이사국 지위를 이용해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 추가 제재에 건건이 제동을 걸고 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는 미국의 대북 압박 정책에 따른 대응일 뿐이라는 게 러시아의 주장이다.
작년 5월 러시아는 중국과 함께 안보리 대북 제재안에 거부권을 행사했고, 그해 11월 북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에 대응하는 의장 성명 채택도 무산시켰다.
안보리는 올해 2~3월에도 공개회의를 열어 북한의 ICBM 발사 문제를 논의했으나 러시아와 중국의 옹호로 공식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뿐만 아니라 러시아는 유엔 회원국이 자국 내 모든 북한 노동자를 송환하도록 규정한 기존의 안보리 결의조차 이행하지 않고 있다고 미 정부는 주장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지난 이틀간 러시아의 대응은 북-러 밀착 관계를 더욱 공공연한 위치로 끌어올렸다.
대통령실은 이날 브리핑에서 무기 지원 관련 발언이 "상식적이고 원론적인 대답이었다"며 "우리가 앞으로 어떻게 할지에 대해서는 향후 러시아에 달려있다"고 밝혔다.

acui721@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