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FOMC 실망감에 하락 마감…2,500선 턱걸이(종합)

입력 2023-05-04 16:06   수정 2023-05-04 16:08

코스피, FOMC 실망감에 하락 마감…2,500선 턱걸이(종합)
외국인 '사자'에 낙폭은 제한…코스닥지수, 개인 매수 유입에 강보합세


(서울=연합뉴스) 배영경 기자 = 코스피가 4일 미국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에 대한 실망감으로 하락해 2,500선에 턱걸이한 채 거래를 마쳤다.
다만 외국인 매수세 덕분에 낙폭은 제한적이었다.
이날 코스피 종가는 전날보다 0.46포인트(0.02%) 내린 2,500.94로 집계됐다.
지수는 전장보다 6.58포인트(0.26%) 내린 2,494.82로 개장해 2,500선 안팎에서 등락을 반복하다가 2,500선을 간신히 넘어 장을 마감했다.
국내 증시는 지난밤 5월 FOMC에서 시장의 기대보다 매파(통화긴축 선호)적이었던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발언에 영향을 받았다.
미 연준의 0.25%포인트(p) 기준금리 인상은 시장 예상을 벗어나지 않았지만 파월 의장의 발언은 '이번이 마지막 금리인상'이라는 신호를 기대했던 시장 참여자들을 실망시켰다.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더욱 제약적인 통화정책이 타당하다면 우리는 더 많은 일을 할 준비가 돼 있다"며 인플레이션이 빠르게 진정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에 근거해 "금리 인하는 부적절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국내 증권가는 추가 긴축 가능성을 언급했던 표현이 삭제된 연준의 성명 등을 근거로 '6월 기준금리 동결'을 확신하며 비교적 차분한 모습이었다.
아울러 외국인도 소폭이나마 '사자'를 나타내 지수의 추가 하락을 막았다.
이경민 대신증권[003540] 연구원은 "외국인이 오후 들어 점차 순매수로 전환하는 모습을 보이며 증시의 하방 경직성이 강화됐다"면서 "오늘은 제약·바이오 대형주 중심으로 강세를 나타내 코스피의 하락폭을 축소했다"고 분석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393억원어치 순매수하며 하루 만에 다시 '사자'로 전환했다. 개인도 2천276억원어치를 순매수했고 기관 홀로 2천686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시가총액(시총) 상위 종목 중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2.84%), 셀트리온[068270](2.52%) 등은 강세를 띠었다. 그러나 카카오[035720](-1.89%), 포스코퓨처엠(-1.88%), 현대모비스[012330](-1.36%) 등 상당수 종목은 하락 마감했다.
업종별로 비금속광물(-1.99%), 운수장비(-0.88%), 음식료품(-0.64%), 전기·전자(-0.60%) 등은 하락했다. 반면 의약품(3.48%), 의료정밀(2.97%), 기계(1.04%) 등은 강세였다.
코스닥지수 종가는 전장보다 1.88포인트(0.22%) 오른 845.06이다.
지수는 전일보다 1.05포인트(0.12%) 내린 842.13으로 출발했으나 오후 들어 개인 투자자들의 반발 매수세가 유입돼 상승폭을 키우며 847.69까지 오르기도 했다.
코스닥시장에서 개인 홀로 1천899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천342억원, 404억원어치씩 순매도했다.
시총 상위주 가운데 알테오젠[196170](8.91%),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4.90%), 셀트리온제약[068760](4.19%) 등 상당수가 강세를 나타냈다.
이날 하루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거래대금은 각각 9조9천60억원, 8조6천740억원으로 집계됐다.
ykba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