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 기술, 높은 비용 등으로 내년 '찬바람' 맞을 것"

입력 2023-10-11 01:54  

"생성형 AI 기술, 높은 비용 등으로 내년 '찬바람' 맞을 것"
CCS인사이트 "현실적 점검 이뤄질 것…EU 규제는 2025년 이후"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김태종 특파원 = 올해 테크 업계를 뜨겁게 달구고 있는 챗GPT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이 내년에는 '찬바람'을 맞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시장분석기관 CCS 인사이트는 10일(현지시간) 2024년 이후 테크 산업의 미래에 관한 연례 보고서에서 내년에 생성형 AI 기술에 대한 현실적인 점검이 이뤄질 것이라며 이같이 전망했다.
보고서는 내년에는 생성형 AI에 대한 거품이 빠지고 이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비용과 규제 요구가 증가하면서 생성형 AI 기술 성장이 둔화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벤 우드 애널리스트는 "우리는 AI 옹호자이며, AI가 경제와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생산성에도 매우 좋다고 생각한다"며 "그러나 생성형 AI는 거품이 많아 시장에 내놓기 위해 통과해야 할 많은 장애물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가장 큰 장애물로 높은 비용을 꼽았다.
우드 애널리스트는 "생성형 AI를 훈련하고 유지하는 데에는 큰 비용이 든다"며 "대기업에는 괜찮지만, 대기업이 아닌 많은 조직과 많은 개발자에게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들 것"이라고 말했다.
생성형 AI의 기반이 되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막대한 컴퓨팅이 필요하고 이를 실행시키는 데에는 고출력 칩이 필요하다.
가장 큰 인기를 끄는 엔비디아의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인 H100의 가격은 개당 4천만원으로, 대규모 컴퓨팅은 이런 칩 수천개를 필요로 한다.
보고서는 AI 기술을 둘러싼 규제 등도 장애물로 지적했다.
그러나 유럽연합(EU)이 AI 규제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 "내년 말까지 확정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보고서는 "EU는 AI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을 처음 도입하겠지만, AI의 발전 속도 때문에 여러 차례 수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입법은 2024년 말까지 확정되지 않아 업계가 자율 규제의 초기 단계를 밟을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CCS 인사이트는 또 AI가 만든 콘텐츠가 사람에 의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알리기 위해 콘텐츠 경고가 곧 추가되고, 경찰 단속이 본격화해 음성 합성 기술 등 '딥페이크'를 통한 사기범이 처음 체포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taejong75@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