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이끄는 반도체…'메가 클러스터'로 초격차 경쟁력 강화

입력 2024-01-15 15:16  

한국경제 이끄는 반도체…'메가 클러스터'로 초격차 경쟁력 강화
작년 수출 15.6% 차지, 일자리 27만개 창출…안보 핵심자산으로도 부상
미국·대만도 반도체 클러스터 중심 시너지 발휘…"각국 투자 전쟁 중"



(서울=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 정부가 15일 '세계 최대·최고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지원 방안을 발표한 것은 반도체 산업이 한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막대한 비중 때문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취임 초부터 "반도체가 산업의 쌀이라고 하고 4차산업혁명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라 우리 생사가 걸려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 방안이 발표된 민생 토론회의 명칭을 '민생을 살찌우는 반도체 산업'이라고 한 것도 반도체 산업 육성을 통해 미래 먹거리를 확보하겠다는 의지가 담겼다.
오는 2047년까지 경기 남부 일대에는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가 들어선다. 이를 위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민간 기업이 622조원을 투입하고, 정부는 총력 지원에 나선다.

◇ 한국 경제 이끄는 '수출 효자' 반도체
정부는 이번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건설로 650조원의 생산 유발 효과와 350만개에 가까운 일자리 창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반도체는 그동안 한국 경제의 주엔진이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의 반도체 수출은 2023년 기준 986억달러로, 전체 수출 6천327억달러의 15.6%를 차지했다.
지난 2022년 기준 한국은 세계 6위 수출 대국인데, 반도체 수출이 없으면 그 순위는 13위로 내려가며 무역수지 흑자 달성도 불가능했다.
1980∼2023년 반도체 수출 누적액은 1조5천788억달러로, 현재 한국 대외금융자산 총액의 73%에 해당한다. 반도체 수출로 유입된 외화가 한국의 대외안전성 개선과 원화 가치 안정 등에 기여하는 셈이다.



또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1조7천92억달러의 3.9%인 662억달러가 반도체 생산으로 유발된 부가가치다.
산업 성장 과정에서 파급된 기술 혁신의 가속 등을 고려하면 실제 반도체 산업의 경제적 영향은 더 클 것으로 업계에서는 본다.
일자리 창출 효과도 크다. 지난해 반도체 산업 직접 취업자는 12만명이며, 관련 직종 취업자까지 포함하면 일자리 27만개를 창출했다. 이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유관 산업의 일자리로 연결된다.
업계 관계자는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한 반도체 산업의 특성을 감안하면 연간 100조원 규모 투자 시 건설·토목 등 유관 산업에서도 54만개 일자리가 증가하는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 반도체 역량이 안보 역량으로 직결
최근 지정학적 위협이 커진 상황에서 첨단 반도체는 경제안보의 핵심 자산으로 꼽힌다.
지난 2022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한국을 찾았을 때 첫 방문지로 택한 곳은 반도체 공장이었다. 한미 양국이 경제안보 동맹, 첨단산업 동맹으로 발돋움하는 과정에도 반도체가 자리했다.
미국뿐 아니라 유럽연합(EU), 일본, 인도 등은 반도체 강국 한국과의 관계 형성에 힘쓰고 있다. 반도체 역량이 '안보'와도 연관된 만큼 반도체 성공 신화를 써온 한국과의 관계를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
과거 냉전시대에는 각종 첨단무기에 활용되는 반도체 역량이 미국과 소련 간 패권 경쟁의 주요 변수로 꼽혔고, 현재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에서도 반도체가 그 중심에 자리한다.
이 때문에 미국, 일본 등 주요국은 반도체 제조시설의 국내 자산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미국 바이든 행정부는 법을 통해 반도체 산업 가치사슬 전체를 자국 내에서 관리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일본은 반도체를 국가전략산업으로 지정해 자국 반도체 산업의 부활을 도모하는 중이다.



또 반도체는 스마트폰, PC, 자동차, 데이터센터, 전기차·자율주행, 혼합현실(MR)·증강현실(AR)·가상현실(VR), 인공지능(AI) 등 신산업 경쟁력의 원천으로도 불린다.
세계 각국이 반도체 공급망 유치 노력을 강화하는 이유다.
한국이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에서 차지하는 위상 때문에 반도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의 한국 투자도 활발하다.
네덜란드 반도체 장비 기업으로, 최첨단 반도체 양산에 필요한 극자외선(EUV) 노광장비를 유일하게 생산해 '슈퍼 을'로 불리는 ASML, 미국의 반도체 웨이퍼 제조 장비 및 서비스 공급 기업인 램리서치 등은 잇따라 한국에 연구개발(R&D) 센터와 제조 거점 설립에 나섰다.
또 도쿄오카공업, 신에쓰화학, 듀폰 등 반도체 제조에 투입되는 다양한 소재 업체들의 한국 투자도 늘고 있다.

◇ 미국·대만·중국도 반도체 팹 한곳에 밀집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면 산업 생태계 구축이 더욱 수월해진다.
전후방 산업이 클러스터를 기반으로 모이면 인프라 중복 투자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인재 유치 측면에서도 유리해서다.
이런 장점 때문에 미국, 대만, 중국 등에서는 이미 반도체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반도체 생태계가 하나로 움직이고 있다.
미국에서는 반도체 공장(팹)이 애리조나·뉴욕·텍사스 3개 주를 중심으로 밀집해 있다. 미국 정부는 2030년까지 2개 이상의 첨단 반도체 제조 클러스터를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밝히기도 했다.
대만은 세계 1위 파운드리 업체 TSMC가 있는 신주(新竹) 과학공업단지, 중국은 서부 지역 과학기술 기지인 시안 가오신개발구가 각각 반도체 산업의 중심이다.
각국 정부는 클러스터를 적극적으로 육성하면서 반도체 산업을 활발하게 지원하고 투자를 유치해왔다.



이에 국내 반도체 업계에서도 이번 메가 클러스터 구축을 계기로 반도체 시설 및 R&D 투자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한다.
정부는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포함한 최첨단 메모리와 2나노미터(㎚) 이하 공정 시스템 반도체를 생산하는 세계 최고 수준 반도체 생산 기지가 조성되도록 민간 투자를 집중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메가 클러스터 구축은 반도체 업계에 굉장히 중요한 의미가 있다"며 "지금 각국에서 투자 전쟁이 일어나는 가운데 누가 빠르게 투자할 곳을 정하고 투자를 빨리하는지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메가 클러스터가 성공하려면 무엇보다 인허가 추진이 신속하게 이뤄지고 전기 같은 기반 시설이 빨리 준비돼야 한다"며 "정부 부처뿐 아니라 국민들도 많은 관심을 갖고 도와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ric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