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소멸 빨라진다…전국 10곳 중 3곳 이미 출산율 0.7명 하회

입력 2024-03-03 06:05   수정 2024-03-03 16:47

인구소멸 빨라진다…전국 10곳 중 3곳 이미 출산율 0.7명 하회
서울 25개 자치구 모두 0.6명대 이하…작년 4분기 자연감소 첫 4만명대


(세종=연합뉴스) 송정은 기자 = 올해 연간 합계출산율이 처음 0.6명대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전국 시군구 10곳 중 3곳은 이미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0.7명을 밑돌았다. 주로 도시 지역의 출산율이 저조했다.
저출생 고착화로 작년 4분기 자연 감소가 역대 최대를 기록하는 등 인구 소멸 속도는 계속 빨라지고 있다.
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전국 261개 시군구(도 단위 32개구 포함) 가운데 지난해 연간 합계출산율이 0.7명보다 낮은 곳은 70군데에 달했다. 전체의 26.8% 수준이다.
작년 전국 합계출산율은 0.72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갈아치웠다. 장래인구추계상 올해는 이보다 더 떨어져 0.6명대로 내려올 전망이다. 작년 4분기 합계출산율은 분기 기준 처음 0.6명대로 떨어졌다.
연간 합계출산율 0.7명선이 무너진 70개 시군구는 대도시에 대부분 집중됐다.
서울이 25곳으로 가장 많았다. 서울 내 모든 자치구에서 합계출산율이 0.7명을 하회한 것이다.
부산과 경기가 각각 12곳으로 뒤를 이었다. 대구·인천·경남(4곳), 광주·전북(2곳) 순이었다.

전국 시군구 가운데 합계출산율이 가장 낮은 곳은 부산 중구로, 0.31명이었다.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가 0.31명에 그친다는 얘기다.
통계청 관계자는 "부산 중구가 도심 쪽이다 보니 인구 대비 출생아가 많지 않은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서울 관악구가 0.38명으로 집계돼 마찬가지로 0.3명대였다. 관악구는 대학생, 수험생 등 미혼의 젊은 1인 가구가 밀집한 영향으로 분석됐다.
서울 종로구(0.40명), 서울 광진구(0.45명), 서울 강북구·서울 마포구·대구 서구(0.48명), 서울 도봉·은평구(0.52명) 순으로 합계출산율이 낮았다.
도시 지역일수록 출산율이 낮은 건 청년 세대의 치열한 경쟁, 높은 사교육열, 집값 등과 무관치 않다.
한국은행은 작년 12월 연구에서 초저출산의 원인을 다양한 층위별로 분석한 결과 청년들이 느끼는 높은 경쟁압력과 고용·주거·양육 측면의 불안과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짚었다.
출생아 규모 자체는 경기도가 많은 편이다. 젊은 부부가 주택 가격 등을 이유로 서울에서 경기로 이동한 영향 등이다.
지난해 경기 화성시(6천700명), 경기 수원시(6천명), 경기 고양시(5천명), 경기 용인시(4천900명), 충북 청주시(4천800명), 경기 성남시(4천400명) 순으로 출생아가 많았다.
지난해 태어난 아기는 23만명인데 사망자 수가 35만2천700명으로 훌쩍 웃도는 등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넘어서는 자연감소는 4년째 이어지고 있다.

특히 작년 4분기에는 4만900명이 줄어 분기 자연감소 규모가 처음 4만명을 넘어섰다.
우리나라 인구는 2019년 4분기(-7천100명)부터 17개 분기 연속 줄고 있다.
4분기 기준 자연감소 규모는 2019년 1만명을 밑돌다가 2020년 1만7천400명, 2021년 3만명, 2022년 3만6천800명, 지난해 4만900명으로 점차 커졌다.
이상림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 연구위원은 "수도권 집중을 해소하면 사회 전반의 경쟁이 낮아지고 장기적으로 저출생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며 "이를 위해 거점 도시를 키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표] 분기별 자연증가 건수(명)
┌────────┬─────┐
││ 전국│
├────────┼─────┤
│ 2017.1/4 │25,513│
├────────┼─────┤
│ 2017.2/4 │20,638│
├────────┼─────┤
│ 2017.3/4 │21,925│
├────────┼─────┤
│ 2017.4/4 │ 4,161│
├────────┼─────┤
│ 2018.1/4 │ 7,957│
├────────┼─────┤
│ 2018.2/4 │11,485│
├────────┼─────┤
│ 2018.3/4 │ 9,751│
├────────┼─────┤
│ 2018.4/4 │-1,191│
├────────┼─────┤
│ 2019.1/4 │ 7,761│
├────────┼─────┤
│ 2019.2/4 │ 3,750│
├────────┼─────┤
│ 2019.3/4 │ 3,190│
├────────┼─────┤
│ 2019.4/4 │-7,135│
├────────┼─────┤
│ 2020.1/4 │-6,108│
├────────┼─────┤
│ 2020.2/4 │-4,395│
├────────┼─────┤
│ 2020.3/4 │-4,730│
├────────┼─────┤
│ 2020.4/4 │ -17,378│
├────────┼─────┤
│ 2021.1/4 │-7,444│
├────────┼─────┤
│ 2021.2/4 │-8,890│
├────────┼─────┤
│ 2021.3/4 │ -10,761│
├────────┼─────┤
│ 2021.4/4 │ -30,023│
├────────┼─────┤
│ 2022.1/4 │ -35,412│
├────────┼─────┤
│ 2022.2/4 │ -30,344│
├────────┼─────┤
│ 2022.3/4 │ -21,171│
├────────┼─────┤
│ 2022.4/4 │ -36,826│
├────────┼─────┤
│ 2023.1/4 (잠정)│ -24,509│
├────────┼─────┤
│ 2023.2/4 (잠정)│ -27,092│
├────────┼─────┤
│ 2023.3/4 (잠정)│ -30,224│
├────────┼─────┤
│ 2023.4/4 (잠정)│ -40,925│
└────────┴─────┘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sj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