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 개최 카타르, 화석연료 넘어 '중동의 싱가포르' 꿈꾼다

입력 2024-05-16 00:51  

월드컵 개최 카타르, 화석연료 넘어 '중동의 싱가포르' 꿈꾼다
경제포럼 계기 투자진흥청·관광청·에너지장관 등 한중일 언론 인터뷰
지속가능성 보장 위해 산업구조 다변화 추진…관광산업에도 공들여
"기후 위기 경고에도 천연가스 수요 오히려 늘어"


(도하=연합뉴스) 김상훈 특파원 = '화석연료 왕국' 카타르가 '중동의 싱가포르'를 목표로 또 한 번 경제·산업구조의 다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셰이크 알리 빈 알왈리드 알사니 카타르 투자진흥청 최고경영자(CEO)는 15일(현지시간) 연합뉴스를 비롯한 한·중·일 언론과 인터뷰에서 "2008년 65%에 달했던 국내총생산 내 에너지 비중이 지금은 35%로 줄었지만 이제 경제의 다양성과 지속가능성이라는 이슈가 제기됐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장기적인 지속가능성을 고려할 때 천연자원에만 의존할 수는 없다"며 "이 때문에 카타르는 인적자원 개발을 통한 산업의 전환을 추구하고 있다"고 했다.
미래 카타르를 위한 경제 전환 시도는 제조업과 물류, 정보통신기술(ICT), 식량안보와 안정적 수자원 확보는 물론 인공지능(AI)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이뤄져야 하며 이를 위한 인력 개발과 투자 배분이 필요하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특히 인력 개발을 위해 카타르는 이미 '교육 도시' 프로젝트 투자를 통해 인재를 육성하는 것은 물론, 싱가포르처럼 글로벌 인재를 끌어들이기 위한 시도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세금 감면 등 혜택과 연구개발 지원, 교육기관과 연계뿐만 아니라 정부의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도 갖췄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식량안보 강화를 위한 농업기술뿐 아니라 콜드체인, 이커머스 등 물류·유통 기술,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반도체 및 반도체 기술을 직접적으로 응용한 기술) 분야에서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의 투자에 관심이 있다고 말했다.
카타르는 관광산업 분야에서도 중동 내 선발주자인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사우디아라비아 등과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22년 말 월드컵 축구대회를 치르면서 개선된 인프라와 인지도를 바탕으로 관광산업 육성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사아드 알카르지 카타르 관광청(Qatar Tourism) 회장은 "월드컵 개최가 엄청난 영향을 미쳐 2023년 외국인 방문자는 전년 대비 약 40% 늘어난 400만명에 달했고 올해는 1분기에만 200만명이 다녀갔다"고 말했다.
그는 "접객 시스템을 개선하고 관광 관련 규제를 세계 흐름에 맞게 바꾸고 있다"며 여기에 더해 축구뿐만 아니라 다양한 스포츠의 국제대회를 유치하는데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아시아의 관광 선진국인 홍콩과 싱가포르와도 협력해 성공적인 애플리케이션도 개발하는 등 정보통신(IT) 기술을 관광산업에 접목하기 위한 시도도 하고 관광산업 종사자 육성에도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매년 건강검진차 한국을 방문한다는 알카르지 회장은 "도하에 한국 병원을 유치하는 등 의료관광에도 큰 관심을 두고 있다"며 다른 나라에 비해 관광자원이 부족하지만 이를 상쇄할 관광 소프트웨어를 알차게 키워나가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카타르는 올해로 4회째를 맞는 경제 포럼을 통해 이와 같은 산업 구조 개편 관련 이슈들을 공론화하고 국제적 관심을 배가시키려 노력하고 있다.
가속하는 기후 위기가 촉발한 화석연료 경계 분위기 속에 미국, 호주와 함께 세계 3대 액화천연가스(LNG) 수출국인 카타르는 이처럼 경제의 체질을 바꾸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천연가스 수요가 당장은 급격하게 줄어들지는 않을 것이라고 카타르 당국은 자신한다.
사아드 알카비 카타르 에너지 담당 정무장관 겸 국영 에너지 기업 카타르 에너지의 CEO는 "사람들은 얼마 전까지 천연가스가 필요하지 않다고 했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며 "특히 '그린'을 외치던 주요 7개국(G7)은 지난해 이제 더 많은 천연가스가 필요하다고 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대체 에너지 시장 규모가 분명히 성장할 것이며 미래엔 대체에너지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하겠지만 일반이 기대하는 것만큼 빠른 속도로 성장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meola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