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18]직업계고 학점제 도입 학생 학부모 교사 생각은요?

입력 2018-12-13 11:17   수정 2019-01-07 16:37


[하이틴잡앤조이1618=정리 정유진 기자] 1618고교학점제가 2022년부터 부분도입하고 2025년부터 전면 실시 예정인 가운데 이 제도에 대한 의견을 들어봤다.  

학생

학점제가 도입 된다면 직업계고 학생들은 자신들이 원하는 커리큘럼을 가지게 되며 자신이하고 싶은 직업에 대해서 많은 것을 공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지금까지와는 다른 교육법으로 모험적이지만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김영우 서서울생활과학고 3학년   

2학기가 시작될 무렵 학교에서 방과 후 수업을 듣기 위해 원하는 강좌에 신청을 했지만 신청인원이 매우 적어 강좌를 개설할 수 없다고 해 그 수업을 포기한 적이 있었다. 학점제의 장점은 학생 개인이 원하는 수업을 골라 들을 수 있다는 점이지만 단점은 인원이 부족하다면 수업을 들을 수 없다는 것이다.  

이소연 천안여자상업고 2학년 

 

고교 학점제는 학생 본인이 듣고 싶은 수업을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조금 더 수업에 흥미를 느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학생들도 싫은 과목을 억지로 듣지 않아도 되기에 수업에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윤소리 천안여자상업고 1학년 

학점제를 통해 자신이 하고 싶은 분야를 더 전문적으로 배우고 싶다.

허정목  대구 경북기계공업고 1학년 

전기 전자를 통합해 배워서 너무 복잡합니다. 하나의 과목을 전문적으로 알고 싶다.

장현우 대구 경북기계공업고 1학년

 

직업계고 학점제는 동전의 양면 같다고 생각한다. 자신이 원하는 과목만 선택하다 보면 실생활에서 중요한 과목들이 배제되는 상황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직업계고 학점제 도입을 마냥 좋은 쪽으로만 생각할 순 없을 것 같습니다.

조효정 광주여자상업고 2학년

교사 

학점제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떨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실행 자체가 어렵다고 생각 하는데 그 이유는 교원 부족과 교실 부족이며 연합형 수업을 한다고 해도 수업을 제대로 듣지 않는 학생들이 생기고 복잡해져 학생들을 관리하기가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교사 한 명이 평가하기에는 제대로 된 평가기준이 없기 때문에 어렵고 수능을 개편한다고 하더라도 대학교와 기업 입장에서는 학생들을 뽑는 기준이 애매모호해지며 취업조차 어려워질 것이다.

김민 서서울생활과학고 교사 

 

고교학점제가 우리나라 교육현실에서 과연 정착될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다. 대학 입시 교육에 집중돼 있기 때문이다. 특히 특성화고도 대학 입시의 영향을 받고 있는 가운데 새로운 제도를 실시하면 혼란이 더 가중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고교학점제가 이론적으로는 좋은 제도인 듯하다. 하지만 고등학교 학생들의 많은 학생이 학업에 대한 열의가 부족하고 스스로 학습하고 학업성취도가 얻어내기가 힘든 상황에서 과연 고교학점제를 이수하고 조기 졸업을 할 수 있는 학생이 얼마나 될 수 있는지는 비관적인 생각이 든다. 

학점제는 학생이 스스로 관리하고 책임지는 제도이지만 고등학교에서는 학생 생활지도 및 모든 부분에서 아직 미성년인 청소년들을 교육하는 곳인데 미성숙한 청소년들에게 자율권을 주고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을 준다면 학교 교육 본연의 의미가 단순한 학업성취능력 향상을 위한 학원처럼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들기도 한다.

신선군 천안여자상업고 교사

고교 학점제. 학생 스스로 과목을 선택하고 출결과 이수보다 학점획득으로 졸업이 가능한 제도로 도입의 취지는 학생의 자율성과 획일적 수업보다 개성존중이 가능한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바라봅니다,

하지만 실제 도입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은 것 같다. 첫째 자율성의 존중을 위해 부여한 과목선택의 기회부여는 얻고자 하는 지식이나 정보에 대해 올바른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잘못된 선택이 될 수 있는 위험 소지가 있다. 전공과목에 대해 올바른 이해를 하지 못한 상태에서 자율성으로 인해 과목을 선택해서 강의를 듣기 때문에 올바른 선택이 아닐 가능성이 충분이 있어 사전 교육이 당연시 된다. 둘째 차별화된 지식 획득 목적에서 벗어나 학점으로 졸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학점 획득이 궁극적 목표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학점 받기 쉬운, 흥미만 강조한 수업을 선택하여 수업을 들어 고교 학점제라는 제도를 악용하여 제도의 본질적 의미가 변질 될 수 있습니다.  

변문상 경북기계공업고 교사

직업계고 학점제 도입에 대해 우려가 큽니다. 현재 직업계고는 취업 상황이 좋지 않습니다. 그래서 선생님, 학생들 너나 나나 할 것 없이 모두 정신없는 상태고요. 어떻게 해서라도 좁은 취업의 문을 겨우겨우 비집고 들어가려고 애쓰고 있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갑자기 바뀐 시스템은 선생님은 물론이고, 학생들에게도 큰 혼란을 유발할 위험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현재 상황에서 가장 필요한 건 직업계고 학점제 도입을 우선시하는 것이 아닌 위태로운 직업계고에 심폐소생술을 하는 것입니다.

직업계고의 취업 상황을 진정시키고 나서 직업계고 학점제를 도입한다면 훨씬 더 긍정적으로 와 닿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박은주 광주여자상업고 교사 

학부모

교육 환경이 바뀌면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힘들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학교는 공부하는 곳이며 직업을 탐색하는 곳이라고 생각하는데 학점제 방식은 학생들의 통제가 안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학점제 도입은 시기상조라고 생각한다. 교육에 대한 혼란만 가중 시킬 것이라고 생각한다. 

송금순 서울특별시 구로구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직업교육이 필요한 것은 일부 수긍이 되지만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직업군에 대해 전문적인 교육을 시행할 수 있는 교사 및 교육 환경을 모든 학교 및 학생들이 공평하게 제공할 능력이 우리나라의 정책 기획 및 수행자(교육부)가 가지고 있다고 믿지 못하며 또한 학점제에 대해 객관적인 평가를 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개인적으로 독일과 같은 교육제도가 도입되기를 희망하지만 현재 운영되고 있는 특성화고 교육을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현실적인 교과목으로 변경하고 학생들이 자신의 미래를 꿈꿀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을 실시해 주시기 바란다.  

이종호 충청남도 천안시 

 

학생들이 자신이 직접 생각하고 고민해 원하는 과목을 공부하는 것은 굉장히 좋은 교육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자신의 의지로 공부하는 것은 독립심을 키워주고, 자신의 선택에 따른 책임감도 키워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자신의 적성에 맞는 과목을 중심으로 공부한다면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를 더 구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을 것 같다. 빠른 시일 내에 더 많은 학교들이 학점제를 도입하면 좋겠다.

최진희 광주광역시 남구 

직업계고 학점제 도입은 학생들 입장에선 호의적일 순 있지만 어른들 입장에서는 그리 달갑게만 들리지 않는다. 자아정체성이 제대로 잡히지 않은 시기에 학생들에게 주도권을 맡기는 것에 대해선 기대보다 걱정이 크기때문이다. 자칫 이 제도를 악용한다면 학생들의 진로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한다면 학점제 도입에 대해 더 긍정적인 반응이 나오지 않을까 싶다.

조성배 광주광역시 남구  

직업계고 진학의 가장 걱정 되는 게 새로운 배움 그리고 달라진 환경에서 공부하는 것이 가장 걱정이었다. 학점제를 살펴보니 하고 싶은 과목을 정해서 수강을 듣는 방식이더라고요 적응을 재대로 하지 못했으면 자신이 가장 자신 있거나 하고 싶은 것에 수강신청해서 배우면 더욱 좋다고 생각한다. 자신이 잘하는 것이나 하고 싶은 것에 대해 열정을 가지고 있으면 열심히 열정적으로 참여 할 것 이고 많은 학생들이 점수를 높게 받아 그만큼 학교도 상향평준화가 될 것 같다. 서로 도와주며 같이 성장하며 멋진 상호작용이 일어 날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학업 스트레스도 덜어져 학교 다니는 게 조금이나마 즐겁지 않을까 생각한다. 

익명 학부모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사진=한경DB

< 저작권자(c) 캠퍼스 잡앤조이, 당사의 허락 없이 본 글과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