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채용 시장, 신입 경력 모두 감소…"기업 10곳 중 6곳만 신입 채용 계획"

입력 2019-01-17 15:16   수정 2019-01-21 09:30




△사진=한국경제 DB

[캠퍼스 잡앤조이=이진호 기자] 행운을 가져 온다는 황금돼지해에는 채용 시장이 활기를 띨 수 있을까. 바람과는 달리 채용 경기는 오히려 예년에 비해 경색될 것으로 보인다. 사람인이 기업 628개사를 대상으로 ‘2019년 정규직 채용 계획’을 조사한 바에 따르면, 올해 정규직 신입이나 경력을 채용할 계획이 있는 기업은 지난해 신입 및 경력을 뽑은 기업보다 크게 줄었다.




기업 10곳 중 6곳만 신입 채용 계획, 지난해보다 15%p 적어

올해 신입 채용을 계획하고 있는 기업은 59.6%로, 지난해 신입을 채용했다는 응답(75%)보다 무려 15%p 이상 적었다. 기업들이 신입을 채용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60% 이하로 떨어진 건 2015년 조사 이후 5년만에 처음이다.

신입 채용 방식은 기업 10곳 중 7곳이 ‘수시’라고 답했다. ‘공채와 수시 모두’ 활용하는 기업은 21.4%였으며, ‘공채’만 뽑는 곳은 9.6%였다.

계획 중인 채용 시기는 절반을 약간 넘는 51.3%가 ‘상반기, 하반기 모두’를 꼽았다. 이어서 40.1%는 ‘상반기’를 선택했으며, 8.6%는 ‘하반기’라고 응답했다.

금년도 신입사원 초봉은 평균 2536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신입사원 채용 예정 분야는 ‘영업/영업관리’가 27%(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제조/생산’(22.7%), ‘IT/정보통신’(16.6%), ‘서비스’(16%), ‘연구개발’(13.9%) ‘재무/회계’(9.1%), ‘디자인’(7.8%), ‘기획/전략’(7.8%), ‘인사/총무’(7.5%), ‘마케팅’(7.2%) 등이 있었다.




경력 채용도 먹구름, 채용 계획 있는 기업 절반 불과

경력 채용 전망에도 먹구름이 드리워 있다. 2019년 정규직 경력사원을 채용할 계획이 있다고 답한 기업은 51.6%로 절반에 그다. 2018년 경력직을 뽑은 기업이 63.7%인데 비해 12.1%p나 낮은 수치다.

경력사원 채용 방식은 ‘수시’(74.1%, 복수응답), ‘취업포털 인재검색’(29.6%), ‘공채’(23.1%), ‘사내 추천’(18.8%), ‘헤드헌터’(9.9%) 등을 활용할 계획이었다. 

선호하는 경력 연차는 평균 4.6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3년차’(47.8%, 복수응답), ‘5년차’(37.7%), ‘2년차’(23.8%), ‘1년차’(18.8%), ‘4년차’(18.5%), ‘7년차’(12.3%), ‘6년차’(10.2%), ‘10년차’(9.3%) 등의 순이었다.

경력사원 채용 예정 분야는 ‘영업/영업관리’가 26.5%(복수응답)로 1위였다. 이어서 ‘연구개발’(19.1%), ‘IT/정보통신’(17.6%), 제조/생산(17.3%), 서비스(15.4%), 기획/전략(10.5%), 마케팅(9.3%) 재무/회계(7.7%), 디자인(6.8%) 등이 있었다.




기업 대다수, 내년 경기 전망은 좋지 않을 것으로 예측

한편, 대부분의 기업들은 올해 경기 전망에 대해 ‘지난해와 비슷’(47.9%)하거나 ‘악화될 것’(41.4%)이라고 내다봤으며, ‘좋아질 것’이라고 답한 기업은 10.7%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금년도 채용시장 전망에 대해서도 ‘지난해와 비슷할 것’이라는 의견이 52.4%였고, ‘악화될 것’이라는 답변도 36.9%나 되었다. ‘좋아질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10.7%로, 전반적으로 채용 경기가 좋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했다.

jinho2323@hankyung.com

< 저작권자(c) 캠퍼스 잡앤조이, 당사의 허락 없이 본 글과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