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습 임금체불 기업 ‘제조업’, ‘건설업’이 가장 많아…1곳당 체불임금 평균 7800만원

입력 2020-04-24 11:04  






[캠퍼스 잡앤조이=조수빈 인턴기자] 알바몬이 상습 임금체불 사업주 224명의 명단을 추가 공개했다. 올 4월 추가된 상습 임금체불 기업 1곳당 체불임금은 평균 7849만원에 이르며 2억 이상 고액 체불 사업주도 10명에 달한다.

알바몬이 4월 자사 사이트에 공개 중인 상습 임금체불 사업주 1102건의 명단을 분석했다. 이들 사업주가 체불한 금액은 모두 881억2970만원(*만원 미만액 절사)이다. 체불사업주 1명이 체불한 임금 등의 체불액만 평균 7997만원에 달한다. 이 중 2020년 1차 공개명단은 224명으로, 4월 현재 공개 명단의 20.3%를 차지한다. 

올해 1차 명단에 공개된 기업 224곳의 총 임금 체불액은 175억8178만원으로 집계됐다. 기업 한 곳당 체불액은 7849만원 수준이다. 직전 3년간(2017년 2차 명단~2019년 2차 명단) 평균액 8035만원보다 약 2.3% 가량 감소한 수준이다.

올해 상습임금체불사업주로 명단이 공개된 기업들의 업종을 살펴보면 ‘제조업(74곳, 33.0%)’과 ‘건설업(68, 30.4%)’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공개된 업종별 임금체불 총액은 ‘제조업(61억7784만원)’이 가장 높았다. 이어 ‘건설업(51억4024만원)’, ‘도매 및 소매업(10억9290만원)’, ‘사업시설 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10억5581만원)’, ‘정보통신업(9억2453만원)’ 순이었다. 

기업 한 곳당 체불액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종(1억4972만원)’이 가장 높았다. 이어 ‘정보통신업(1억272만원)’, ‘부동산업(1억15만원)’ 순이었다.

명단이 공개된 상습 임금체불 사업주 2명 중 1명은 수도권에서 사업체를 운영 중이었다. 알바몬이 공개 명단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올해 공개된 명단 중 ‘경기지역 사업장(67곳, 29.9%)’이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46곳, 20.5%)’, ‘인천(11곳, 4.9%)’ 등 전체 명단의 55%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었다. 

올해 명단이 공개된 상습체불업주들의 지역별 체불총액 역시 ‘경기도(53억4516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서울시(46억8425만원)’, ‘경남(14억3357만원)’, ‘인천(10억7518만원)’ 순이었다. 기업 1곳당 체불액수가 가장 높은 지역은 ‘대전(1억1307만원)’, ‘서울시(1억183만원)’, ‘충남(9840만원)’, ‘인천(9774만원)’, ‘경기(7977만원)’, ‘강원(7855만원)’, ‘전남(7688만원)’ 순이었다.

subinn@hankyung.com

< 저작권자(c) 캠퍼스 잡앤조이, 당사의 허락 없이 본 글과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