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아웃 쌍용건설 정상화에 9200억 필요"

입력 2013-04-26 07:01  

실사 결과 예상치의 2~3배
일부 채권단 동의 안할수도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중인 쌍용건설을 정상화하려면 1조원 가까운 대규모 자금 투입이 필요하다는 실사 결과가 나왔다.

25일 금융당국 및 은행권에 따르면 쌍용건설 실사를 맡은 삼정KPMG는 경영 정상화를 위해 9200억원의 자금이 필요하다는 실사 결과를 최근 내놨다.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을 비롯한 채권은행들은 26일 채권단회의를 열어 워크아웃 이행 여부를 확정할 방침이다.

실사 결과 우선 신규 자금 3600억원을 투입해야 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부족한 운영자금과 협력사 납품대금 등을 메우기 위한 돈이다. 해외에서 추진 중인 사업과 관련해 2400억원가량의 채권단 보증도 추가로 이뤄져야 하는 것으로 나왔다.

특히 1500억원 규모의 채권단 추가 출자전환도 필요하다는 분석 결과다. 채권단이 지난달 합의한 1700억원의 출자전환액과 합치면 총 출자전환 규모는 3200억원에 달하는 셈이다.

필요한 자금 규모가 이처럼 커진 것은 우발채무가 드러난 데다 비협약채권자인 군인공제회가 대출상환을 요구하고 있어서다. 채권단 관계자는 “군인공제회가 쌍용건설 프로젝트파이낸싱(PF)과 관련해 1140억원을 빌려줬는데 일부 상환을 요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채권단이 9200억원을 투입해야 하는 경영 정상화 이행 계획에 동의하면 쌍용건설은 50 대 1 감자 및 신규 자금 투입 등을 거쳐 자본 잠식에서 완전히 벗어난 후 정상화 절차를 밟게 된다.

은행들이 대규모 자금 지원에 동의할지는 미지수다. 한 은행 관계자는 “3000억~4000억원가량을 지원해 살리는 쪽으로 생각했는데, 1조원을 채권단이 낼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만약 워크아웃 계획이 무산되면 쌍용건설은 법정관리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금융권은 보고 있다.

장창민/이상은 기자 cmjang@hankyung.com




▶[속보] 급등주 자동 검색기 '정식 버전' 드디어 배포 시작
▶[한경 스타워즈] 대회 전체 수익 2억원에 달해.. 비결은?


▶ [이슈 & 포인트] 건설공사 분리발주의 허와 실
▶ 불황에도 잘나가는 중견 건설사들
▶ 쌍용건설 워크아웃 신청 임박…등 떠밀리는 채권단
▶ 상장 건설사 3곳 중 1곳 적자
▶ [취재수첩] 쌍용건설에 책임 없다는 정부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