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계열사 전산망 중앙회 연결…IT시스템도 문제

입력 2013-05-16 17:19   수정 2013-05-17 00:46

전산 장애 책임 소재 불분명


농협중앙회와 농협금융지주는 정보기술(IT) 분야에서도 독특한 구조를 갖고 있다. 안전을 중시하는 업종 특성상 철저히 분리 독립돼 있는 다른 금융지주사 IT 시스템과 달리 금융부문 IT 시스템이 중앙회와 연결돼 있다. 그러다 보니 해킹에 취약하고 사고가 빈발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런 문제는 농협금융의 분리 시기가 당초보다 앞당겨진 데서 비롯됐다. 노무현정부는 2017년까지 농협금융을 중앙회에서 분리키로 했다. 하지만 이명박정부 들어 2012년으로 앞당겼다. 은행법은 은행업 인가 요건으로 은행 자체 IT 체제를 갖출 것을 요구하고 있다. 분리 시기가 앞당겨진 농협은행 농협생명 농협손보는 농업경제 축산경제 상호금융 등과 함께 쓰던 IT 시스템에서 분리해 독립 IT 체제를 갖출 예산과 시간이 모자랐다. 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농협법에 ‘출범 후 3년간 중앙회에 IT 운영을 위탁할 수 있다’는 부칙을 달았다.

문제는 지난 3월 해킹에 의한 전산 장애와 한 달 뒤인 4월 부품 고장으로 인한 전산 사고가 잇달아 발생하면서 불거졌다. 농협금융은 전산시스템을 모두 중앙회에서 운영·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책임도 중앙회에서 져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중앙회는 달랐다. ‘위탁 업무 과정에서 고객 손해 등이 발생할 경우 금융지주회사도 함께 책임져야 한다’고 규정한 금융지주회사법을 근거로 농협금융에 책임을 물으려 했다. 이런 입장 차이로 갈등이 생기자 신 회장이 사의를 표명했다는 분석이 많다.

김일규 기자 black0419@hankyung.com




▶[속보] 급등주 자동 검색기 '정식 버전' 드디어 배포 시작
▶[한경 스타워즈] 대회 전체 수익 2억원에 달해.. 비결은?




이은성, 작품 거절 이유가 서태지에 잡혀서…
장윤정, 신혼인데 '큰 집' 알아보는 이유가
서태지-이은성, '50억' 평창동 신혼집 봤더니
첫 성관계 여대생 "콘돔 사용하자" 적극적
장윤정, 집 처분하고 남편 도경완에게 가서는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