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신제윤 위원장은 루빈이 뭐가 어쨌다고?

입력 2013-06-03 17:23   수정 2013-06-03 20:54

신제윤 금융위원장이 KB금융지주 회장 인선과 관련, 기자들에게 “관료출신도 능력과 전문성이 있으면 금융그룹 회장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그 사례로 “루빈 씨티그룹 회장도 (재무)장관 출신”이라고 언급했다고 한다. 이 발언은 회장 후보 중 한 명인 모피아[재무부(MOF)+마피아]출신 선배를 미는 듯이 비쳐져 국민은행 노조가 비난성명을 내는 등 관치 논란을 빚고 있다. 신 위원장은 “KB금융은 민간 금융사여서 정부가 인사에 개입할 수 있는 부분이 없다”고 강조했지만 오해를 살 만한 발언이었다. 아니 충분히 계산한 이중언어일 것이다.

물론 관료 출신이라고 금융사 CEO가 되지 말란 법은 없다. 하지만 신 위원장이 루빈을 그 사례로 든 것은 우스꽝스럽고 부적절한 예시다. 사실과도 거리가 멀다. 신 위원장은 루빈이 재무장관을 마치고 씨티 회장으로 간 것만 기억할 뿐, 입각 전에 30년간 월가에서 소위 ‘업자’로 일했던 사실은 알지 못하는 모양이다. 이는 단순한 말 실수가 아니다. 한국 관료들의 뿌리 깊은 관존민비적 인식을 드러낸 것이다.

신 위원장이 루빈을 거론한 이상, 새삼 지난 이야기를 하지 않을 수 없다. 루빈은 재무장관이 되기 전 골드만삭스 회장 자격으로 과천 재정경제원을 방문한 적이 있다. 하지만 장·차관은 물론 심지어 담당 국장조차 이런저런 이유로 만나지 못했다. 명색이 세계 최대 증권사 회장이라는 루빈이 재경원 7층에서 4층까지 비상계단을 오르내린 끝에 만난 것은 증권과장뿐이었다. 몇 년 뒤 한국에서 외환위기가 터졌다. 이때 루빈의 재무부가 국무부와는 달리 한국 정부를 ‘원칙대로’ 거칠게 다룰 것을 고집한 데는 이런 고약한 추억이 작용한 것이다. 루빈 스스로가 한국 관료들을 한번 손봐주어야 한다고 말한 적이 있을 정도다. 그만큼 우물 안 개구리들이었다는 것이다.

신 위원장은 취임 초 “관치(官治)가 없으면 정치(政治)가, 정치가 없으면 내치(內治)가 판을 친다”고 말했다. 일리가 없지 않다. 그러나 관료 출신 금융사 CEO가 아니라 금융업자 출신이 금융위원장이 되는 순간이라야 진짜 금융 선진화가 가능한 때다. 미국 재무장관은 대개 관료 아닌 업자 출신이 임명된다. 인사실패의 하나가 바로 관료공화국을 만든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신 위원장은 지금 무슨 이야기를 제멋대로 지어내나.




女승무원과 성관계 후…반전 결과에 '경악'
박시연, 임신 도중 충격 사실이…발칵
"장윤정에 보복할 것" 폭탄 발언…가족 맞아?
김구라, 10년 간 방송만 해서 번 돈이…깜짝
'방송사고' 손진영, 지나 가슴에 손을…헉!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