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신흥국 위기에도 돈 버는 소로스 투자기법 'PEWS'

입력 2013-09-01 17:19   수정 2013-09-01 23:20

최근 신흥국 위기 종전과 달라…위기경로 추적하면 기회 있어

한상춘 객원논설위원 schan@hankyung.com



갈수록 미국 중앙은행(Fed)의 출구전략 추진이 기정사실화되는 분위기다. 이 때문에 신흥국에서는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의 직접적 원인이 됐던 ‘급격한 자금 이탈’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앞으로 신흥국 금융시장에서는 외국 자금의 추가 유입보다 유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1990년대 이후 급격한 외자 이탈을 경험한 국가에서 나타난 공통적인 특징을 보면 크게 네 가지로 요약된다. 이들 특징은 위기 진행 과정을 파악하고 대책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급격한 외자 이탈이 발생한 국가들에 가장 먼저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징은 신용부도스와프(CDS) 금리가 급등한다는 점이다.

CDS 금리와 외자 유출입 간의 상관관계를 추적해 보면 CDS 금리가 장기평균치에서 표준편차의 약 2배를 벗어나기 시작하면 외자 유입이 감소했다. 변동성이 더 심해져 장기평균치 4배를 넘어서면 CDS 금리가 이전보다 더 빠르게 급등하면서 외자 유입이 갑작스럽게 멈추고, 곧바로 이탈 단계로 전환했다.

이때부터 위기 발생국의 통화 가치는 절하되기 시작했다. 외국인 자금이 유입될 당시에는 통화 가치가 절상되다가 해외 자본 유입이 갑자기 중단된 이후 곧바로 대량 이탈로 급진전하는 과정에서 가치가 큰 폭으로 떨어졌기 때문이다. 갈수록 국제 자금 흐름이 투기적인 속성이 강한 자금에 의해 주도됨에 따라 환율 변동성이 심해진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시기별로는 급격한 자금 이탈이 발생한 국가의 통화 가치가 장기평균치에 비해 표준편차의 3배를 벗어나거나 해당 연도 절하율이 직전 연도 절하율을 10%포인트 이상 웃돌 경우 이전보다 빨라지는 쏠림 현상이 나타나면서 외환위기로 악화됐다. 이때 위기 발생국의 외환보유액이 충분하다고 인식되면 CDS 프리미엄이 빠르게 떨어지는 진정 국면으로 들어갔다.

하지만 위기 발생국들의 외화유동성에 의심이 갈 경우 투기성 자본들의 공격 대상이 되면서 국제통화기금(IMF)의 유동성 지원 등과 같은 계기가 마련되기까지 혼란 국면이 지속됐다. 이 단계에서는 국제 금융시장에서 자국통화 표시 자금 조달이 곤란하기 때문에 급격한 자금 이탈이 발생하면 외환에 대한 초과 수요가 빠르게 늘어나 심각한 외화 부족에 직면했다.

그 뒤 주가와 부동산 가격 하락에 따른 역(逆)자산 효과와 경제주체들의 디레버리지(부채 축소·저축 증가), 통화 가치 절하에 따른 대차대조표 효과 등을 통해 비교적 큰 폭의 실물경기 침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악의 경우 실물경제 침체가 또 다른 외자 이탈을 유발하는 나선형 악순환 위기에 빠지는 국가도 있었다.

이런 과정을 최근 상황에 적용해 보면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당시와 달리 이번에는 국가별로 커다란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Fed의 출구전략 추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가장 큰타격을 받고 있는 인도, 인도네시아 등은 실물경기 침체 직전 단계로 외환보유액이 감소하고 있어 이들 국가를 중심으로 ‘제2의 아시아 외환위기’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한국, 중국, 싱가포르, 대만, 홍콩 등은 같은 신흥국에 속했다는 그 자체만으로 받는 심리적 충격 이외에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고 있다. 오히려 출구전략을 추진하면서 이탈한 자금이 새로운 투자처를 찾는 과정에서 ‘중(中)위험·중수익’을 추구하며 이들 국가로 유입될 가능성도 높아 기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모든 위기는 발생하기 전에 미리 그 징후를 포착할 수 있다면 정책당국을 비롯한 모든 경제주체들이 사전에 준비가 가능하고, 위기가 발생하더라도 그에 따른 경제·사회적 비용을 상당 부분 줄일 수 있다. 이런 목적을 충족할 수 있는 방안으로 신호등 체계를 활용한 ‘조기경보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과거 위기발생국의 공통적인 경로와 특징을 토대로 볼 때 일단 CDS 금리 등 위기 관련 지표가 올라가기 시작하면 그것이 ‘거짓 신호’ 여부와 관계없이 ‘파란 불(경고 Ⅰ)’을 켠다. 그 뒤CDS 금리가 장기평균치에 비해 표준편차의 2배로 급등하고 외자 순유입이 줄어들면서 자국통화 환율 변동성이 심해지면 ‘파란 불’에서 ‘노란 불’로 바꾼다(경고 Ⅱ).

상황이 더 악화돼 CDS 금리가 장기평균치에 비해 표준편차의 4배 이상 급등하고 외자 순유입 규모가 장기평균치에 비해 2배 이상 감소하거나 곧바로 순유출세로 바뀌고 환율이 급등세로 돌아서면 ‘노란 불’에서 ‘주황 불’로 한 단계 격상(경고 Ⅲ)시킨다. 최종단계로 통화 절하폭이 직전 연도에 비해 10%포인트 이상 확대되고 외환보유액이 감소하면서 실물경기 침체가 본격화되면 ‘주황 불’에서 ‘빨간 불’로 전환(경고 Ⅳ)한다.

경험국 사례로 볼 때 ‘경고 Ⅲ’ 단계에 가면 그때야 국민들이 ‘경제가 잘못되고 있구나’ 하는 위기감을 느낀다.

늦어도 ‘경고 Ⅱ’ 단계에서 알아낼 수 있다면 사회·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신흥국에서 위기가 발생하면 돈을 많이 벌었던 조지 소로스가 ‘개별 조기경보체제(PEWS·Personal Early Warning System)’를 잘 구축해 ‘경고 Ⅱ’ 단계를 찾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는 점은 국내 투자자에게도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한상춘 객원논설위원 schan@hankyung.com





'女대생 청부살해' 사모님, 알고보니 남편과…
김정은 옛 애인, '성관계' 촬영했다가 그만
'女고생 성폭행' 차승원 아들, 법정 나오자마자
리쌍 '막창집'을 강제로…"어떻게 이런 일이"
박진영, 美서 '적자'나더니 99억을…충격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