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브, 다음주 콘솔 '스팀박스' 공개 게임업계 술렁

입력 2013-09-21 00:19   수정 2013-09-21 00:24

<p>
미국 게임 개발업체 밸브(Valve)가 현재 개발 중인 게임 콘솔 '스팀 박스(Steam Box)'을 조만간 공개할 것으로 알려져 글로벌 게임업계가 술렁이고 있다.</p> <p>게이브 뉴웰(Gabe Newell) 밸브 공동설립자는 지난 17일(미국 현지시간) 리눅스 컨퍼런스 '리눅스콘(LinuxCon)'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했다.</p> <p>그는 '우리가 리눅스를 거실로 가져오기 위한 하드웨어를 어떻게 만들었는지 좀 더 많은 정보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공개하며 '리눅스는 게임의 미래가 될 것이다. 다음 주에 좀 더 자세한 내용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p> <p>그러니까 밸브가 개발 중인 게임 콘솔의 진척 상황을 다음주에 공개한다는 점과 개방형 운영체제(OS) 리눅스로 동작할 것이라는 점을 역설한 것이다. 현재 '스팀박스'라는 이름으로 불리지만 공식적으로 정해진 이름은 아니다.</p> <p>밸브가 게임콘솔을 개발한다는 소문은 2012년부터 꾸준히 흘러나왔다.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오픈소스 개발자 컨퍼런스 'EHSM 2012′에 참석한 벤 크라스노프 밸브 엔지니어는 '밸브 게임 콘솔은 리눅스를 기반으로 동작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어 주목을 받았다.</p> <p>다른 기기와 호환이 잘된다는 최신식 게임기 '스팀박스' 공개 일정이 코앞에 닥치면서 게임업계에서는 몇 가지 점에서 의아한 반응을 보였다.</p> <p>우선 스팀박스가 리눅스 OS 기반의 새 게임 플랫폼을 표방한 것과 밸브가 개발한 TV용 조작 방식 '빅픽처 모드'가 적용된 점이라는 것이 그것. 현재 게임 생태계의 가장 큰 축은 윈도우를 기반으로 한 PC가 담당하고 있다. 소니나 마이크로소프트(MS)의 게임 콘솔도 독자적인 게임 생태계를 꾸려왔다.</p> <p>하지만 리눅스와 같은 개방형 OS가 게임 플랫폼의 주류로 떠올랐던 적은 없다. 특히 PC나 기존 콘솔용 게임을 리눅스용으로 쉽게 바꾸는 기술은 없다. 밸브가 해결해야 할 가장 큰 숙제을 안고 시작한 것이다.</p> <p>스팀박스를 위해 게임 개발자는 리눅스용 게임을 다시 개발해야 한다. 이미 PC와 기존 게임 콘솔 등 수많은 게임 플랫폼이 있는 상황에서 어떤 개발자가 과연 또 다른 플랫폼을 위해 게임을 개발하려 할지 시선이 집중된다.</p> <p>그럼에도 불구하고 밸브가 기대를 걸고 있는 것은 운영 중인 게임 유통 플랫폼 '스팀'이다. 스팀은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게이머가 쓰는 온라인 게임 상점이다. 전세계 온라인 게임 유통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게이머가 창작한 콘텐츠도 활발하게 공유된다. 스팀의 경험은 밸브의 게임 콘솔에 힘을 보탤 수 있다.</p> <p>게이브 뉴웰 공동설립자는 '이미 스팀 198개의 게임이 리눅스용으로 개발됐다'라며 스팀 박스에 장밋빛 미래를 약속하기도 했다.</p> <p>게임업계의 일각에서는 '스팀박스는 플레이스테이션이나 엑스박스가 아니라 안드로이드 운영체제가 경쟁 상대일지도 모른다. 게임업계의 '아이폰'을 만들겠다는 포부가 숨겨 있다'는 분석도 나오기도 했다.</p> <p>한경닷컴 게임톡 박명기 기자 pnet21@naver.com</p>

넥슨아메리카, 밸브 '스팀' 통해 3종 서비스
전설적 게임회사 '밸브' 속살을 훔쳐보다
[화보] 밸브 아이콘 '쇠꼬챙이 빠루' 황금빛 반짝

게임톡(http://www.gametoc.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화제] "신기해서 난리" 주식용 네비게이션 드디어 등장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