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송전탑 5곳 공사 재개

입력 2013-10-02 16:59   수정 2013-10-03 02:27

126일 만에 … 경찰 2천명 투입
반대 주민과 곳곳서 충돌



2일 오전 11시 경남 밀양시 단장면 고례리 밀양댐 인근의 헬기장 입구. 송전탑 공사를 반대하는 주민들이 농성을 하고 있었다. 이들 앞에서 밀양시 공무원 40여명은 행정대집행을 알리는 문서를 읽은 뒤 주민과 충돌 없이 20여분 만에 철거작업을 끝냈다. 밀양시 관계자는 “반대 주민이 설치한 노숙시설(움막) 6곳에 대해 무단 설치와 산림법 및 도로법 위반을 이유로 철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밀양지역 765㎸ 송전탑 공사가 이날 재개됐다. 지난 5월 공사가 중단된 지 126일 만이다. 한국전력은 오전 6시부터 고례리 바드리마을 84·89번 송전탑을 비롯해 사연리 동화전마을 95번, 상동면 도곡리 109번, 부북면 위양리 도방마을 126번 등 5곳에 직원 및 시공사 관계자 등 200여명과 건설장비를 투입해 공사를 시작했다.

경찰은 공사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송전탑 현장마다 3~5개 중대 경찰력을 배치하는 등 20여개 중대 2000여명을 투입해 반대 주민의 현장 접근을 막았다.

공사가 재개된 현장 곳곳에서는 반대 주민과 경찰 및 한전 직원 간에 충돌이 벌어졌다. 바드리마을에서는 일부 주민이 몸에 쇠사슬을 묶은 채 시위를 했고 상동면에서도 주민 100여명이 경찰과 대치했다. 이 과정에서 부상자도 나왔다. 도곡리에서는 강모씨(63·여)가 경찰과 대치하다 넘어져 한때 의식을 잃었고, 바드리마을에서도 김모씨(75·여)가 실신해 병원으로 이송됐다.

이계삼 밀양 송전탑반대대책위원회 사무국장은 “정부와 한전이 공사를 강행하면 부상자가 늘어나는 등 큰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며 “지금이라도 공사를 중단하고 사태 해결을 위해 사회적 공론화 기구를 구성할 것”을 촉구했다.

한편 국가인권위원회는 공사 재개 과정에서 인권 침해 사례가 발생할 것으로 보고 조사관 10명을 공사 현장에 보내 감시활동을 펼쳤다.

밀양 765㎸ 송전탑 공사는 신고리 원자력발전소 3호기에서 생산하는 전력을 경남 창녕군 북경남변전소까지 보내기 위한 것이다. 2008년 8월 공사를 시작했지만 올 5월까지 주민의 반대로 모두 11차례 재개와 중단을 반복했다. 반대 주민들은 정부의 보상안을 거부한 채 공사 백지화나 지중화 등을 요구하고 있다.

밀양=강종효 기자 k123@hankyung.com




▶[화제] "초당 12만원" 버는 사람들...충격
▶ 별장으로 쓰면서 은행이자 3배 수익 받는곳?





관련기사

<ul>
<li>'기성용 아내' 한혜진, 부친 사업 실패하더니</li>
<li>女 아나, 입사 초반 모텔방에서…폭탄 고백</li>
<li>"채 총장, 내연女와 자고 가는 날엔…" 폭로</li>
<li>사법연수원 '불륜사건' 실상은…'대반전'</li>
<li>'파산' 송대관, 빚 갚겠다 했는데…'날벼락'</li>
</ul>




[한국경제 구독신청] [온라인 기사구매] [한국경제 모바일 서비스]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관련뉴스

    top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