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리프트, 모바일 게임 유저 리텐션 전략 5가지!

입력 2014-09-25 17:35   수정 2014-09-25 17:49

<p>모바일 게임 마케팅 플랫폼인 앱리프트는 게임 및 광고 업계를 모니터링 하고 핫이슈들을 분석하고 있다. 그리고 매달 이러한 자료를 전세계 파트너를 대상으로 펴내면서 공유한다.</p> <p>9월에는, 현재 '플래피 버드(Flappy Bird)' 의 나라인 베트남 모바일 게임 시장과 '유저 리텐션 전략'과 같은 콘텐츠를 공유하고 있다. 그 중 '유저 리텐션 전략'을 소개본다. </p> <p>
■모바일 게임의 수익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리텐션 전략</p> <p>모바일 게임의 수익화에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효과적인 유저 리텐션 전략을 세우는 것이다. 높은 게임성과 유저를 끌어모으는 마케팅 전략을 통해 진성 유저들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보다 높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p> <p>많은 퍼블리셔들이 유저의 리텐션을 측정하기 위해 classic retention, rolling retention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론과는 별개로, 모바일 게임에 대한 유저들의 충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전략이 사용되고 있다.</p> <p>예를 들면, 중국과 미국의 유저들이 게임을 다시 플레이하거나 구매를 하는 요인은 다소 다를 수 있다. '캔디크러쉬사가'를 성공으로 이끌었던 전략이 '클래시 오브 클랜'에서는 실패할 수도 있다. 게임의 유저 리텐션 전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아래와 같습니다.</p> <p>· 게임의 세부 카테고리 또는 장르
· 유저 베이스
· 타겟 국가 및 지역</p> <p>아래에 설명된 5가지 리텐션 전략의 경우, 장르나 지역, 타겟 그룹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게임을 어떻게 마케팅할 것인지, 유저 리텐션을 어떻게 높일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될 것이다. 이 포스팅을 통해 각 모바일 게임에 특화된 리텐션 전략을 도출하실 수 있다. </p> <p>1. 유저 경험(user experience)에 맞는 높은 게임성과 게임 내 이벤트를 통한 보상</p> <p>높은 유저 리텐션의 관점에서 봤을 때, 유저들이 플레이하고 싶어하는, 재미있는 게임이 가장 주요한 성과를 창출할 것이다. 경쟁심리 자극, 적절한 난이도 구성, 재미있는 게임 요소 등이 높은 리텐션에 필수적인 요소다.</p> <p>이때 효과적일 수 있는 방법이 새로운 캐릭터/무기 활성화와 같은 인게임 이벤트이다. 이전의 'Asian Beat instalment on the Japanese mobile games market'에서 설명했던, 특정 임무나 스테이지를 클리어할 때 보상을 지급하는 방법을 통해 유저들이 계속하여 플레이할 유인을 제공할 수도 있다.</p> <p>2. 푸쉬 메세지 발송</p> <p>유저들에게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는 것도 리텐션을 높이는 데에 가장 효과적인 전략 중 하나다. 기존 유저들에게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게임을 다시 플레이하도록 상기시킬 수 있다. 또한 게임 내의 주요 이벤트나 요소들이 준비되었음을 알릴 수도 있다.</p> <p>이러한 메시지를 통해 유저가 게임을 이어가거나 인앱 결제를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메시지가 스팸으로 비춰지지 않기 위해서는 메시지가 재미있거나 게임 진행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p>
<p>3. 광고를 통한 리타케팅</p> <p>푸시 메시지와 같이 게임을 이미 설치한 유저들을 대상으로 한 리타게팅 광고 또한 효과적이다. 리타게팅 광고를 통해 최근 접속 빈도가 낮아졌거나 플레이 타임이 길지 않은 유저들이 게임을 더 오래 플레이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활동(activity)과 참여도(engagement)의 두 가지 척도를 활용하여 세그먼트를 나눈다면 보다 효과적으로 광고할 수 있다.</p> <p>유저 재활성화나 리텐션 전략에 있어 리타게팅이 효과적인 이유는 스테이지 클리어 수, 마지막으로 플레이한 시점 등을 기준으로 세분화된 세그먼트 중 특정 그룹을 타겟팅할 수 있기 때문이다.</p> <p>4. 유저가 쉽게 연락할 수 있는 채널 구축</p> <p>유저가 퍼블리셔에게 연락할 수 있는 채널을 갖추는 것도 중요하다. 예를 들면, 게임 내에서 유저가 퍼블리셔와 직접 대화할 수 있는 실시간 CRM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유저의 불만에 귀를 기울이고, 빠른 시일 내에 피드백을 제공한다면 변덕스러운 유저들을 진성 유저화할 수 있을 것이다.</p> <p>Google Play에서 게임을 유통하고 있다면 부정적인 리뷰를 남긴 유저와 커뮤니케이션하여 이슈를 해결하고 있음을 알려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퍼블리셔가 유저의 불만 해결에 노력하고 있음을 보여줄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리텐션을 높일 것이다.</p> <p>5. 컨버전 중심의 트래픽 성과 트래킹을 통한 LTV 최적화 (리텐션 전략의 핵심!)</p> <p>다운로드 이후 컨버전을 트래킹함으로써 가장 퀄리티가 높은 트래픽 소스에 예산을 할당하여 LTV를 최적화할 수 있을 것이다.</p> <p>인스톨 이후 측정해야할 컨버전 지표는 아래와 같다.
· 앱 실행
· 특정 레벨 클리어
· 인앱 구매</p> <p>LTV 최적화를 통해 유저들이 특정 기간내 컨버전을 발생시키도록 하여 리텐션을 높일 수 있다. (보다 정밀한 최적화에는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LTV를 꾸준히 개선하여 광고 캠페인을 보다 발전적인 방향으로 수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게임을 장기간 플레이하는 충성 유저를 유입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p> <p>이상의 유저 리텐션션 전략을 차근차근 적용해보는건 어떨까요?</p> 앱리프트 블로그 링크: http://www.applift.com/kr/blog <p>한경닷컴 게임톡 박명기 기자 pnet21@naver.com </p>

스티브 정 '앱리프트, '핫 서울' 제대로 알아봤다'
임현균 '전략적 해외 마케팅, 앱리프트에 답 있다'
스티브 정 '앱리프트, 해외시장 소통 만족스럽다'
앱리프트, 아에리아게임즈 투자 수익률 150%
[게임톡 창간 2주년]손장호 앱애니 한국지사장

게임톡(http://www.gametoc.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한경닷컴스탁론]또 한번 내렸다! 최저금리 3.2% 대출기간 6개월 금리 이벤트!
'TV방영' 언론에서도 극찬한 급등주검색기 덕분에 연일 수익중!
[한경스타워즈] 하이證 정재훈, 누적수익률 80%돌파!! 연일 신기록 경신중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