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돌파] IT와 만난 의료서비스…의사들 정보독점 깨진다

입력 2015-01-06 20:48   수정 2015-01-07 03:49

IT융합이 돌파구

사라진 온·오프라인 경계
모바일로 질병·건강상태 체크…환자가 의료 서비스 주체로

한국은 규제에 막혀…
원격의료·메디텔 갈길 멀어…스마트 헬스케어도 지지부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6일(현지시간) 개막하는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Consumer Electronics Show)에 참가한 기업들은 ‘가정에서 이뤄지는 혁신(home-grown innovation)’을 새 흐름으로 제시했다. 대표적인 사례가 ‘헬스케어’다. 집 밖에서 이뤄지던 의료 서비스가 집 안으로 들어오고, 개인과 가정이 의료 소비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시대가 오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의 헬스케어 벤처기업 모바일헬프는 5일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호텔에서 열린 미디어 콘퍼런스에서 ‘고혈압 당뇨 등 여러 질병이나 건강 상태를 집에서 쉽게 진단할 수 있는 기기’인 모바일 바이털스(mobile vitals)를 선보였다. 로버트 필포 모바일헬프 대표는 “병원을 중심으로 이뤄지던 의료 서비스가 이제는 소비자인 환자 중심으로 옮겨가고 있다”며 “환자가 의료 서비스의 수준이나 내용을 결정하는 주체가 됐다”고 말했다.

제어기기와 항공우주 분야 등에서 강자로 꼽히는 미국 하니웰의 건강 관련 자회사 하니웰라이프케어솔루션은 병원이 갖고 있는 정보를 환자가 공유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의료정보 플랫폼(seymour)을 내놓았다. 존 보자노스키 대표는 “환자가 자신의 상태에 대해 잘 알게 되면 공포로부터의 자유, 스스로 건강을 관리하는 자유를 얻게 된다”며 “환자들이 질병과 관련된 데이터를 잘 이해하고 의사와 소통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의학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들이 자신의 건강이나 질병 상태에 대해 쉽게 알 수 있을 정도로 정보기술(IT)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예컨대 애플이 내놓은 헬스케어 플랫폼 ‘헬스키트’나 구글의 ‘구글핏’ 등은 일반 소비자들이 운동 상태나 건강을 체크하고 관리하는 프로그램이다. IT·모바일 시대로 접어들면서 의사들이 독점으로 쥐고 있던 정보의 불균등이 깨지고 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이런 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의사들이 의료 서비스 주도권을 놓칠 수 있는 것들에 대해서는 강력히 반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집에서 환자가 스스로 진단하고 의사와 상담하는 원격의료는 의사들의 파업에 부딪혀 ‘시범 시행’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병원 밖에서는 의료행위를 할 수 없다는 이유로 ‘숙박을 함께 제공하는 메디텔’도 마음대로 지을 수 없다. 의사 동의를 받지 않고서는 환자가 자신이 치료받은 치료 정보도 가져갈 수 없다. 병원 이외의 기관이나 기업이 치료 정보를 관리하는 것도 안된다. 한의사가 현대 의료기기를 사용하는 것조차 막혀 있다.

정부도 다를 게 없다. 일반인들이 책임지고 의료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여지를 아예 없앴다. 삼성전자나 SK텔레콤 등 IT 관련 기업들과 분당서울대병원 등 대형 병원들이 헬스케어 서비스를 개발했지만 이런 규제에 막혀 대부분 상용화가 되지 않고 있다. 스마트 헬스케어 제품은 제조시설과 품목별 허가를 엄격히 받아야 한다. 각종 건강 관련 앱(애플리케이션)들도 의료기기법 적용을 받고 있다. CES에서 보여준 헬스케어 혁신을 국내에서 보기 어려운 이유다.

라스베이거스=현승윤 중소기업부장hyunsy@hankyung.com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