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바이러스 감염자, 2명 추가 발생…출국까지 '공포 확산'

입력 2015-05-28 19:53  


메르스 바이러스

메르스 바이러스 감염자가 7명으로 늘어난 가운데, 이 중 한 명이 중국으로 출국해 논란이 일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감염이 의심돼 자가(自家) 격리 중이던 K(44)씨가 26일 중국으로 출국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28일 밝혔다.

양병국 질병관리본장은 27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하고 국제보건규약에 따라 세계보건기구(WHO) 서태평양지역사무소(WPRO)와 중국 보건 당국에 이를 알려 K씨가 진단 검사와 치료를 받게 하고, 국내 접촉자들을 추적 조사해 격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K씨의 감염 여부는 이르면 28일 오후 확인될 것으로 보인다.

K씨는 세 번째 환자 C(76)씨의 아들이자 네 번째 환자 D(여·40대)씨의 동생이다. 지난 16일 C씨가 입원한 병실에 4시간 가량 체류했다. 이 병실에는 나중에 국내 첫 메르스 환자로 판명된 A(68)씨가 있었다.

K씨는 19일 발열 증세를 보여 22일 한 병원 응급실을 방문했고, 25일에도 병원 응급실을 방문했다. 25일 당시 체온은 38.6도였다.

K씨의 중국 출국을 막지 못한 것과 관련해 질병관리본부는 초기 역학조사에서 K씨를 메르스 감염 의심자로 가려내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C씨와 D씨는 초기 역학조사에서 K씨가 C씨가 입원한 병원을 찾아온 적이 있다는 사실을 말하지 않았으며, K씨는 발열 증세를 보여 22일 찾아간 병원 응급실에 자신이 메르스 환자와 접촉했다는 사실을 알리지 않았다.

K씨는 25일 다시 응급실을 찾았을 때 담당 의사에게 자신이 메르스 환자와 접촉했다는 사실을 밝혔으나, 이 의사는 27일에야 지역 보건 당국에 이를 신고했다. 또 보건 당국이 K씨에게 중국 출장을 자제할 것을 권고했으나 K씨는 이를 무시하고 26일 출국해 홍콩을 경유, 중국 본토에 입국했다.

K씨가 메르스에 감염된 상태에서 출국했다면 K씨가 탑승한 비행기에 동승한 승객과 승무원들이 모두 메르스 병원체에 노출됐을 수 있다. 또 중국으로 메르스가 확산될 경우 국내 보건 당국은 의심 환자 통제에 실패했다는 책임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질병관리본부는 K씨와 같은 비행기를 탄 승객과 승무원 180명을 상대로 역학 조사를 벌이고 있으며, 이와 별도로 콜센터를 운영해 메르스 의심 신고를 받겠다고 밝혔다.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이날 메르스 의심 환자 2명이 메르스로 확진됐다고 밝혔다. 1명은 지난 15~17일 첫 번째 환자 A씨와 같은 병동에 입원했던 환자이고, 다른 1명은 이 병동을 맡았던 의료진이다.

이로써 국내 메르스 감염자는 7명으로 늘었다. 중동을 제외하면 세계에서 가장 많다.

반면 전북 정읍시에서 메르스 증세를 보인다고 자진 신고했던 여성 환자(25)는 메르스가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메르스는 2012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처음으로 발견돼 주로 중동에서 확산된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 감염으로 발병하며 치사율은 41%에 달한다. 국내에서는 바레인에서 농작물 재배 관련 일을 하다 귀국한 A씨가 지난 20일 첫 번째로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았다. 나머지 감염자 6명은 모두 A씨와 접촉했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



[한경스타워즈] 1위 누적수익률 100% 돌파, 참가자 전체 누적수익률은 40% 육박
[이슈] 30대 전업투자자 '20억원' 수익 낸 사연...그 비법을 들어봤더니
[특집_가계부채줄이기] '그림의떡' 안심전환대출 포기자들, 주택 아파트담보대출 금리 비교로 '반색'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