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스 로봇 허용해야 하나, 미국 영국 학계 업계에서 논쟁 커져

입력 2015-11-05 14:47  


로봇과 교감하며 사랑을 느끼고 성관계까지 갖는 것이 허용돼야 하는지에 대한 찬반 논쟁이 불거지고 있다.

캐슬린 리처드슨 몽포르대 로봇윤리학 연구원은 4일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열린 웹 서밋에서 "로봇과의 성관계는 우리가 걱정해야 할 일" 이라며 "섹스 로봇을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미국 CNBC 방송이 보도했다. 리처드슨 연구원은 "기계와는 사람처럼 성관계를 가질 수 없다"며 "우리는 인간 존엄성을 잃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사물인터넷(IoT) 회사 그린웨이브 시스템의 수석 과학자 짐 헌터도 로봇과의 섹스는 SF 소설작가 아이작 아시모프가 제창한 '로봇 3원칙'에 위배된다고 지적했다. 아시모프의 3원칙 1항은 '로봇은 인간에게 해를 입히거나 위험에 내몰리도록 방관해서는 안된다'는 내용이다.

헌터는 해를 입힌다는 것이 물리적, 감정적, 정신적인 것인지 명시되지 않았다며 로봇과의 성관계가 인간의 감정과 정신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암시했다.

하지만 로봇과의 성관계가 규제 대상이 아니라는 반대 의견도 나온다. 넬 왓슨 싱귤래러티대 미래학자는 섹스 로봇이 매춘이라기보다는 인간의 외로움을 달래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왓슨은 "우리 시대의 가장 치명적인 질병은 외로움" 이라며 "기계가 우리 안의 상처와 트璨痢떳?치유하는 방법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현재 미국에서는 '록시'(Roxxxy)라는 이름의 섹스 로봇이 생산되고 있으며, 이를 금지하자는 운동이 영국에서 벌어지기도 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인터뷰] 가치투자의 달인, "휘열" 초보개미 탈출비법 공개
[강연회] 가치투자 '이채원.최준철.이상진' 출연...무료 선착순 접수중 (11.6_여의도 한국거래소)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