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수 LG화학 부회장, 팜한농 직접 챙긴다

입력 2016-04-19 18:16  

"글로벌 톱10 업체로 육성"


[ 송종현 기자 ]
박진수 LG화학 부회장이 최근 LG화학 자회사로 편입된 팜한농(옛 동부팜한농)의 대표이사를 맡아 직접 챙긴다. 박 부회장은 팜한농의 비전을 ‘글로벌 그린바이오업계 톱10 진입’으로 제시했다.

팜한농은 19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본사에서 박 부회장을 비롯해 임직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출범식을 열었다. 사명은 동부팜한농에서 팜한농으로 바꿨다.

팜한농은 1953년 설립 이래 60여년 이상 작물보호제 등 국내 그린바이오 시장을 이끌어온 기업으로 최근 LG화학에 넘어갔다. 국내 작물보호제 시장에서 점유율 1위(27%)를 차지하고 있으며 종자·비료 시장에선 2위(19%)를 달리고 있다. 작년 매출 6283억원, 영업이익 221억원을 올렸다.

LG화학은 “박 부회장이 팜한농 대표이사를 맡은 건 이 회사를 새 성장동력으로 육성하려는 의지를 보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LG화학은 올해 초 중장기 집중 육성할 분야로 바이오·에너지·물 관련 사업을 선정했다. 에너지사업은 LG화학의 전지사업본부, 수처리사업은 2014년 인수한 자회사 나노H2O를 통해 펼치고 있다.

박 부회장은 “기존 임직원의 고용을 승계하고 회사의 조기 안정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지금까지와 같이 본연의 업무에 충실히 임해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고객에게 초점을 맞춘 시장 선도 제품을 개발하고 이를 사업화할 수 있는 구조로 혁신을 가속화해 팜한농을 그린바이오 분야 글로벌 톱10 기업으로 육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오산업은 신약 등을 개발하는 레드바이오, 작물보호제 등 식량과 연관된 사업을 일컫는 그린바이오, 식물에서 화학원료를 추출해 화학제품을 제조하는 화이트바이오로 분류된다. 그린바이오 분야는 미래 식량부족 문제를 해결할 핵심 산업으로, 2014년 1000억달러(약 114조원)이던 세계시장 규모가 연평균 6% 성장해 2020년에는 1400억달러를 넘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세계 1위인 신젠타 등 글로벌 시장 점유율 상위 6개사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15% 수준이다. 독일 바스프, 미국 다우케미칼 듀폰 등 글로벌 톱 화학기업들도 일찌감치 그린바이오 분야에 진출해 핵심사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박 부회장은 “그린바이오 사업을 미래 먹거리로 키울 것”이라며 “필요하다면 추가 인수합병(M&A)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종현 기자 scream@hankyung.com



4月 장, 반드시 사둬야 할 新 유망 종목 2선 /3일 무료체험/ ▶ 지금 확인
매일 200여건 씩 업데이트!! 국내 증권사의 리서치 보고서 총집합! 기업분석,산업분석,시장분석리포트 한 번에!!
한경스타워즈 실전투자대회를 통해서 다양한 투자의견과 투자종목에 대한 컨설팅도 받으세요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