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와 영어]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입력 2016-05-06 19:43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 '탄천'이 집어삼킨 '숯내'

경기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에 있는 판교고등학교는 예전 이름이 삼평고등학교였다. 2015년 4월 삼평고는 학교 이미지 제고를 위해 판교고로 교명 변경을 추진했다. 이 학교는 그동안 “4평도 안 되는 3평 학교냐”는 등 교명으로 인해 놀림 소리를 들어왔다.

이런 사실이 알려지자 인접한 판교동 주민들이 발끈하고 나섰다. “판교동에 고교가 추가 설립되면 ‘판교’라는 명칭을 써야 하는데, 다른 곳에서 이를 먼저 써서는 안 된다”는 게 요지였다. ‘판교’를 둘러싼 삼평동-판교동 주민 간 갈등은 교육청에서 삼평고의 손을 들어줘 올해 3월 교명을 판교고로 바꾸면서 일단락됐다.

‘판교(板橋)’는 시쳇말로 요즘 뜨는 지명이다. 2000년대 들어 판교신도시가 개발되고 판교테크노밸리 등이 들어서면서 사람들을 끌어모으는 곳으로 성장했다. 하지만 1970년대 이전만 해도 경기 광주군 낙생면에 속해 있던 이름 없는 작은 마을에 지나지 않았다.

‘판교’라는 지명이 우리 입에 오르내리게 된 것은 1970년 산업화의 상징인 경부고속도로가 완공되면서부터다. 1972년 ‘판교나들목(판교IC)’이 개통되면서 판교는 ‘경제 대동맥’인 경부고속도로를 서울과 수도권으로 퍼져나가게 잇는 교통 요충지로 떠올랐다. ‘판교톨게이트’도 낯익은 말이 됐다. ‘판교’는 그렇게 경부고속도로의 탄생과 함께 자신의 이름을 세상에 알리기 시작했다. 지금의 성남시 분당구 일대다.

판교가 각광 속에 우리 곁으로 다가온 뒤안길에는 사라져간 우리말도 있다. 원래 조상 대대로 불러오던 ‘널다리’ 또는 ‘너더리’란 지명이 그것이다. 우리말과 땅 이름에 관심을 두고 전국 각지의 지명을 연구해온 배우리 선생은 “널다리나 너더리의 ‘널’ ‘너’는 ‘넓음(廣)’을 뜻하는 말이며 ‘다리’ ‘더리’는 ‘들(野)’에서 변형된 것”이라고 밝힌 적이 있다. 지금의 판교는 원래 ‘넓은 들’을 뜻하는 곳이었다는 설명이다. 그러던 것을 일제 때 행정구역을 정비하면서 엉뚱하게 한자로 ‘널빤지 판(板), 다리 교(橋)’를 취해 고유한 이름을 잘못 옮겼다는 게 비판의 요지다.

일설에는 판교의 지명 유래를 마을 앞 개울(운중천)에 판자로 다리를 놓고 건너다녔다는 데서 비롯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판교동 주민센터는 홈페이지에서 지명 유래를 이같이 소개하고 있다. ‘널다리’는 사전에도 올라 있다. 널빤지를 깔아서 놓은 다리란 뜻으로, ‘판교(板橋)’와 같은 말로 풀고 있다. 어쨌든 중요한 것은 지금의 판교는 본래 ‘널다리’, 또는 ‘너더리’ 마을로 불리던 곳이라는 점이다. 우리 고유의 감칠맛 나는 땅 이름을 한자 지명에 밀려 잃어버린 꼴이 되고 만 셈이다.

경기 용인 지역에서 발원해 한강으로 흐르는 ‘탄천’도 딱딱한 한자어가 살갑고 정겨운 우리말 지명을 밀어낸 경우다. 탄천은 서울 강남구 일원동에서 양재천과 만나 올림픽주경기장 옆에서 한강으로 합류하는 내(川)다. 지금은 다들 탄천으로 알고 있지만 본래는 숯내, 검내 등으로 불렀다. 조선시대 강원도 등지에서 목재와 땔감을 한강을 통해 싣고 와 건너편 뚝섬에 부렸는데, 이걸 갖고 숯을 만든 곳이 바로 탄천 부근이었다. 그러다 보니 개천 물도 검게 변했다고 하는 데서 숯내 또는 검내로 불렀다고 한다. 이를 그대로 한자어로 옮긴 게 ‘탄천(炭川)’이다. 숯내나 검내는 어감도 부드럽고 말 속에 옛 정서와 문화가 온전히 살아 있다. 탄천은 어감도 딱딱할뿐더러 한자를 함께 익히지 않는 한 무슨 말인지 알 도리가 없다. 살가운 우리 고유어를 찾아 자주 써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 Cosmetic surgery·fair hair…美에 관한 표현들

‘Beauty is in the eye of the beholder(제 눈에 안경)’라는 말이 있습니다. 여기서 behold는 ‘보다’라는 뜻으로, ‘아름다움이란 보는 사람의 생각에 달린 것이다’라는 말이지? 비슷한 표현으로, ‘Don’t judge a book by its cover(표지만 보고 책을 판단하지 말라)’라는 속담도 있는데, 이렇듯 영어에는 외모와 관련한 표현이 참 많답니다. 그래서 오늘은 조금 더 예뻐지고 싶은 마음에 ‘미(美)’와 관련한 영어 표현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성형수술’은 cosmetic surgery라고 합니다. cosmetic이 ‘미용의’란 뜻이거든요. 그래서 ‘화장품’은 cosmetics라고 한답니다. plastic surgery 역시 ‘성형수술’을 뜻하는 말이랍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비닐봉지’도 영어로는 plastic bag이라고 하니, plastic이란 단어를 절대 만만히 보시면 안 됩니다.

또, 우리가 ‘공정한’이라고만 외웠던 단어 fair에 ‘사람의 살결이 흰, 금발의’라는 뜻도 있답니다. 그래서 fair hair가 ‘금발’이란 뜻이고, fair complexion이라고 하면 ‘흰 피부색’을 뜻하는 표현이 됩니다. 참고로 complexion은 ‘안색’을 뜻하는 말로, complex(복잡한)와 헷갈리시면 안 됩니다.

오드리 헵번 주연의 ‘마이 페어 레이디(My Fair Lady)’는 영국 극작가 버나드 쇼의 희곡 《피그말리온(Pygmalion)》을 각색해서 만든 영화입니다. 여기서 fair는 아름다운(beautiful)의 뜻으로, 과연 촌스러운 소녀를 고상한 숙녀로 변신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내기를 다룬 작품입니다.

원작 ‘피그말리온’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조각가의 이름에서 유래된 말로, 누군가에게 긍정적인 기대를 받게 되면 긍정적인 행동을 하게 된다는 ‘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라는 용어로도 유명한 표현입니다.

반대로, ‘스티그마 효과(stigma effect)’라는 용어도 있는데, 다른 사람들에게 무시당하고 부정적인 낙인이 찍히면 행태가 나쁜 쪽으로 변해 가는 현상을 뜻하는 말이랍니다. stigma가 ‘낙인’이란 뜻인데, 말 그대로 ‘낙인 효과’라고 할 수 있겠지요.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데, 주변 사람에게 따뜻한 말 한마디 건네는 건 어떨까요? 혹시 알아요? 내 덕분에 세상 모든 사람들이 예뻐질지….

오늘도 조금 더 예뻐지는 꿈을 꾸며 잠이 듭니다~^^* ㅎㅎㅎ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