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불통 부르는 500m] 경복궁·청와대 터 길지냐, 흉지냐 '600년 논란'

입력 2016-12-16 17:33  

풍수로 본 청와대

청와대 터, 조선 초 경복궁 후원…일제, 용맥 자르려 총독관저 세워
"터 넓고 북악산 형세 보면 명당"…"신의 강림지로 죽음의 공간"



[ 홍영식 기자 ] 청와대 터는 1426년 경복궁 후원(後園·집 뒤의 정원)으로, 1868년 경복궁 복원 뒤엔 북원으로 불렸다. 일제는 조선 왕실의 기를 누르고 ‘용맥(龍脈·산의 정기가 흐르는 산줄기)’을 자르기 위해 1939년 이곳에 총독관저를 지었다. 이승만 전 대통령은 1948년 정부 수립 후 총독관저로 이사하면서 경무대라고 이름 지었다.

4·19혁명 뒤 윤보선 전 대통령은 경무대라는 이름이 국민에게 좋지 않은 인식을 준다며 청와대로 바꿨다. 노태우 전 대통령이 1989년 청와대를 신축(준공 1991년)하면서 본관과 관저를 분리하고, 춘추관도 새로 지었다.

경복궁과 청와대, 경복궁 터를 두고 풍수지리학적으로 길지(吉地)-흉지(凶地)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풍수지리학자 지종학 씨가 쓴 《청와대 입지의 재조명》에 따르면 청와대와 경복궁은 뒷산인 북악에서 좌우로 뻗어 낙산을 청룡으로 하고, 인왕산에서 사직단에 이르는 산줄기를 내백호로 삼고 있다. 지씨는 이 책에서 앞에 남산이 있고, 복판에 청계천이 흐르고 있어 ‘장풍득수(藏風得水·바람을 가두고 물을 구하기 쉬운 곳)’를 이루고 있는 점이 긍정적으로 평가받는다고 소개했다.

청와대 주인(대통령)들의 운명은 개인의 문제일 뿐 터가 명당임에는 틀림없다는 주장도 있다. 터가 넓고 반듯하며 뒷산(북악산)이 꽃봉오리와 같은 형세도 명당의 증거로 제시된다.

최창조 전 서울대 지리학과 교수 등은 청와대 터에 부정적 평가를 내린다. 최 전 교수는 《땅의 눈물 땅의 희망》이란 책에서 청와대 앞길을 경계로 사람의 공간과 신의 강림지로 나뉜다고 했다. 청와대 터는 신의 강림지로 죽음의 공간이라는 얘기다.

이 때문에 최 전 교수는 대통령 관저를 경기 성남시 세종연구소 터로 옮길 것을 주장했다.

김두규 우석대 교양학부 교수는 《우리땅 우리풍수》에서 “북악산은 저 혼자 우뚝 서 있는 형상이어서 사람에게 편안함을 주지 못한다. 저 혼자 오만불손하게 서 있으며, 남의 의견을 듣지 않으려는 고집불통의 모습”이라며 청와대는 살 터가 되지 못한다고 했다.

경복궁과 청와대 터가 흉지라는 증거로 여러 가지 사례가 제시된다. 경복궁은 조선 왕조가 천도한 직후 왕자의 난이라는 형제간의 골육상잔이 일어났고, 임진왜란 때 화재로 폐허가 된 뒤 270년 동안 방치됐으며, 고종 때 중건된 이후 조선이 쇠국의 길을 걸었다는 점이 꼽힌다. 또 경무대-청와대에 들어왔던 대통령이 하야·시해·감옥행·탄핵 등 시련을 겪은 것도 흉지 사례로 거론된다.

홍영식 선임기자 yshong@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