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서울인구 39만여명… 일본·중국 등 외국인이 3분의 1 차지"

입력 2017-08-14 18:51  

서울역사박물관, 호구조서 발간

조선인 대부분 상업·교통업 종사



[ 박상용 기자 ]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 중반 서울(경성) 인구 10명 가운데 3명은 일본인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을지로를 기준으로 북쪽에는 조선인이, 남쪽에는 일본인이 주로 살았다.

서울역사박물관이 14일 발표한 소장유물자료집 ‘각정동직업별호구조서’에 따르면 1934년 경성의 일본인 비중은 28%(10만9682명)에 달했다. 전국 평균(2.7%)보다 10배 이상 많았다. 당시 경성에 사는 조선인은 27만9007명(70.7%)이었다. 중국인을 비롯한 제3국 출신은 5836명(14.7%)이었다.

조선인이 많이 살았던 북촌과 일본인이 많았던 남촌은 동명 표기 방식도 달랐다. 1914년 북쪽의 행정구역은 ‘동(洞)’이라는 조선식 동명을, 남촌은 ‘통(通)’이나 ‘정(町)’처럼 일본식 동명을 썼다. 지금의 서울시청인 경성부청은 남대문에, 조선총독부는 을지로 남쪽인 남산 왜성대(倭城臺)에 있어 경성은 남북으로 나뉜 이중 도시였다는 설명이다.

중국인은 1910년대 감소하다가 1920년대 후반부터 증가했다. 남대문로 2·3가 서쪽엔 중국인 거리가 만들어졌다. 서소문정(1164명)과 태평동2정목(642명), 장곡천정(621명), 북미창정(201명)에 살던 외국인 상당수는 중국인이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조선인들은 상업과 교통업(31%)에 주로 종사했다. 기타 업종(22.8%)과 공업(12.9%), 공무·자유업(12.5%)이 뒤를 이었다. 일본인은 공무·자유업(39.4%), 상업·교통업(34.6%) 비중이 높았다. 이 밖의 외국인은 상업(61%)에 주로 종사했다. 당시 전국의 조선인 대부분은 농·임·목축업(75.1%)으로 연명했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카카오톡 채팅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2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