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컨트리 리포트] '수소에너지 사회' 앞당기는 일본… 수소발전·충전소 규제 확 푼다

입력 2017-12-31 16:22   수정 2018-01-01 06:03

아베 '수소 기본전략' 채택

아베 "수소, 에너지 안보의 핵심"
올해부터 고베 공공시설에
세계 첫 수소발전 전력공급
수소발전 비용 1㎾당 12엔…
가스발전 수준으로 인하 추진

민관 손잡고 '수소 인프라' 구축
정부, 수소차 80만대 보급 추진
충전소 설비개발·운영 규제 완화
도요타 등 11개사 충전소 합동건설



[ 도쿄=김동욱 기자 ]
‘수소(水素) 에너지 사회’ 실현을 향한 일본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 에너지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정부가 ‘수소 기본전략’을 마련하고, 기업들은 미래 먹거리사업으로 수소 에너지 상용화에 진력하고 있다. 고베시는 올해부터 수소발전소에서 생산한 전기를 주요 공공시설에 공급한다. 주요 자동차 회사는 경쟁적으로 수소차 개발 확대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수소차 충전과 관련한 인프라도 속속 갖춰가는 모습이다.

◆정부가 ‘미래의 쌀’로 육성

일본 정부는 2030년부터 수소를 연료로 하는 상업 발전에 들어가기로 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지난 26일 에너지 관련 각료회의를 열고 ‘수소 기본전략’을 채택했다. ‘수소산업’을 미래 일본을 먹여살릴 ‘쌀’로 보고 대대적인 육성 환경 마련에 나섰다.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과 에너지 자급률 향상을 도모하겠다는 목적이다. 아베 총리는 회의에서 “수소는 에너지 안보와 온난화 문제를 해결할 비장의 카드”라며 “기본전략은 일본이 세계의 탈(脫)탄소화를 주도해 가기 위한 길잡이”라고 강조했다.

일본은 2030년까지 수소로 움직이는 연료전지차는 80만 대, 버스는 1200대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수소 충전소도 일본 전역에 900개가량 설치할 방침이다.

이 같은 목표가 달성될 경우 수소 발전을 포함해 일본 내 연간 수소 사용량은 30만t 이상에 이르게 된다. 현재 수소 유통량이 연간 200t가량에 불과한 점을 고려하면 ‘폭발적’으로 수소 이용이 늘어나는 셈이다. 세계적으로도 일본만큼 수소 에너지 사용이 활성화되는 나라를 찾아보기 힘들어진다. 일본 정부는 수소의 대량 생산과 유통을 통해 수소발전 비용도 2050년까지 ㎾당 12엔(약 113.91원)대로 낮출 계획이다. 가스화력 발전과 동일한 수준으로 수소발전 단가를 인하해 수소 대중화를 매듭짓는다는 구상이다.

◆착착 뿌리내리는 수소발전

수소사회로의 도약은 단지 계획 단계가 아니다. 수소 관련 인프라는 빠른 속도로 일본 사회에 뿌리내리고 있다. 고베시에서는 수소를 연료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소가 오는 2월부터 세계 최초로 수소전기를 주요 공공시설에 공급할 예정이다.

고베시 외곽 인공섬 포트아일랜드에 완공된 수소발전소 사업에는 가와사키중공업과 건설사인 오바야시구미 등이 참여했다. 1000㎾급 수소 가스터빈을 사용해 생산한 전기를 고베시민병원 등 4개 공공시설에 공급한다.

수소 공급망도 확대된다. 지금까지 수소는 생산 및 운반비가 비싸 발전소 연료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는데 이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기업들의 움직임이 활발하다. 가와사키중공업, 지요다화공건설, 미쓰비시상사, 미쓰이상사, 일본우선 등이 이르면 2020년부터 수소 수입사업에 참여할 방침이다.

가와사키중공업은 2020년부터 동남아시아 브루나이에서 수소를 가져와 액화천연가스(LNG)발전소에 공급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브루나이 현지에서 생산된 LNG에서 수소를 분리한 뒤 이를 액화해 5000㎞ 떨어진 가와사키시로 연간 210t가량 가져온다는 계획이다.

저장과 운송효율이 뛰어나 수소연료 범용화에 기폭제가 되고 있다고 평가되는 수소액화·운송 기술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와타니산업, 지요다화공건설 등이 관련 신기술을 경쟁적으로 개발 중이다.

◆충전소 등 인프라 확산돼

발전 이외 분야에서 수소연료 활용이 가장 기대되는 분야가 자동차다. 일본 정부와 기업들은 수소충전소 확충이 수소전기차 활성화의 핵심 기반이라 판단하고 관련 인프라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

일본 정부는 지난 9월 수소연료전기자동차(FCV) 보급 확대를 위해 FCV 충전소 설치와 운용 규제를 완화하기로 했다. 올해 안으로 시설 및 관리감독 요건 등 20개 항목의 규제를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그동안 수소충전소 한 곳에 4억~5억엔(약 40억~50억원)의 설치비용과 연간 5000만엔(약 5억원) 안팎의 운영비가 들었는데 정부가 나서서 저렴한 설비 개발과 규제 완화 등으로 설치비용과 운영비를 절감시키겠다는 구상이다.

시설안전 감독자에게 요구되는 요건도 완화한다. 지금까지는 수소를 다루는 시설에서 일한 경험이 필요했지만 천연가스 등 일반 고압가스 시설을 다룬 경험이 있는 경우에도 수소충전소 안전감독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수소를 담은 용기에 직사광선이 닿지 않도록 지붕 등 덮개 설치를 의무화한 규정도 완화해 용기의 온도 관리만 하도록 할 방침이다.

일본 정부는 또 지난 8월 말 현재 일본 전역에 91개소에 불과한 수소충전소를 도쿄올림픽이 열리는 2020년까지 160개로 늘리기로 했다. 2025년까지 320개 수준으로 늘리는 것이 목표다. 수소충전소 상당수는 도요타자동차·닛산자동차·혼다·JXTG에너지 등 일본 11개 회사가 연합해 건설하기로 했다. 수소 에너지 사회로 가는 민·관의 보조가 척척 맞는다.

도쿄=김동욱 특파원 kimdw@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5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