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에세이] 베네치아 - 보이지 않는 도시

입력 2018-02-19 18:53  

김봉렬 <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 >


정말 오랜만에 이탈리아 베네치아를 다시 갔다. 27년 전 이 도시를 한 해에 세 번이나 방문했다. 모두 해서 한 달가량 머물렀다. 샅샅이 살펴 이 도시를 정복했다고 믿었다. 베네치아는 세계 어느 곳보다 매력적이었지만, 관광객이 너무 많아 주민의 일상적 삶을 만나기 어렵다는 흠이 있었다. 이번 여행은 관광객이 가장 적은 겨울 비수기를 택했다. 그러나 세계 10대 축제 중 하나라는 ‘가면 카니발’ 기간과 겹쳤다. 그 보름 기간에 300만 명이 방문한다니 여행 의도는 완전히 빗나갔다.

베네치아는 물의 도시다. 모두 118개 섬과 150개 운하로 이뤄졌다. 바다를 메워 땅을 만들다 남은 물길이 운하로, 이 도시의 유일한 교통로다. 베네치아는 상업과 경제 도시다. 십자군 전쟁 때 동서를 잇는 중계 무역으로 그야말로 떼돈을 벌어 유럽의 금융 중심지가 됐다. 영국의 시골 극작가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베니스의 상인》을 쓸 정도였다. 베네치아는 예술의 도시다. 티치아노 베첼리오와 같은 베네치아 화가들은 피렌체와 함께 르네상스를 꽃피웠다. 현재도 베니스 비엔날레와 영화제는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예술 경연장이다.

베네치아 하면 떠오르는 책이 있다. 이탈리아 거장 소설가인 이탈로 칼비노가 쓴 《보이지 않는 도시들》이다. 소설 내용은 단순하다. 마르코 폴로가 그가 본 여러 도시를 쿠빌라이 칸에게 설명하는 내용이다. 이 얇은 소설은 총 11장으로 이뤄져 있는데 기억, 욕망, 기호 등 도시에 부여한 특성이 그 소제목이다. 총 55개의 상상 속 도시를 강렬하게 이야기한다. 그러나 모든 도시의 설명은 결국 하나의 도시를 말하는 것 같다. 그렇다. 바로 마르코 폴로의 고향인 베네치아다. 중세와 르네상스의 기억, 십자군과 카사노바의 욕망, 건물과 다리의 섬세함, 수많은 인물과 장소의 이름들, 그리고 기호들…. 역사가 깊고 다양성을 포용하는 도시일수록 한 도시 안에 수많은 다른 도시가 숨어 있다. 이들이 칼비노가 말한 ‘보이지 않는 도시들’이고, 이를 많이 가진 도시가 곧 위대한 도시다.

역기능도 있다. 상주 인구 5만5000명에 불과한 이곳에 한 해 관광객 3000만 명이 몰려온다. CNN이 ‘가보지 않아도 될 12개 도시’에 꼽을 정도로 관광 공해를 앓고 있다. 무엇을 보러 올까? 처음엔 운하, 성당, 광장의 ‘보이는 도시’를 보러 온다. 그러나 대다수는 이 도시의 기억과 기호와 욕망과 섬세함과 숨겨진 것을 찾으러 온다. 나 역시 이번엔 ‘카니발 베네치아’라는 보이지 않는 도시에 매료됐다. 우리 도시는 보이지 않는 것을 얼마나 갖고 있을까?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