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사이트]조현찬 IFC 아태본부장 "국내 투자자 신흥국 인프라 시장 진출 돕겠다"

입력 2018-03-15 11:32  

디지털 기술의 혜택은 공평... 신흥국 인프라 시장이 '기회의 땅'으로
'정치 리스크'로 투자 주저... 세계은행 산하 기관 지원으로 경감 가능
아시아 개도국 송배전망, 도로 등 SOC 사업이 유망





“신흥국 인프라 시장 진출 시 IFC 등 세계은행(WB) 산하 기관의 지원 프로그램을 활용하면 리스크를 대폭 줄일 수 있습니다.”

국제금융공사(IFC)의 조현찬 아시아·태평양 인프라 본부장(사진)은 20일 한국경제신문 자본시장 전문 매체 마켓인사이트와의 인터뷰에서 ”한국 기업, 기관투자가들의 개발도상국 인프라 시장 진출을 적극 돕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세계은행이 개발도상국을 지원하기 위해 만든 IFC는 지난 60년간 2500억달러(약 270조원)를 개발도상국에 투자했다. 한국은 IFC에게서 1960년 이후 총 8000억원을 지원받았다. 조 본부장은 “한국은 국제사회의 개발원조를 받던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성장한 최초의 국가“라고 설명했다.

세계은행의 최대 관심사는 ‘개발금융의 최대화(MFD)’다.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인프라 투자의 물꼬를 트는 게 목표다. IFC를 비롯해 국제부흥개발은행(IBRD), 국제개발협회(IDA), 다자간투자보증기구(MIGA) 등 산하 기관이 역량을 쏟고 있다. 조 본부장은 “개발도상국은 매년 9000억달러의 인프라 투자금이 부족하다”며 “각나라의 재정과 원조 자금만으로는 조달이 불가능하고 민간 자본의 투자가 절실하다”고 했다.

개발도상국 인프라 시장은 선진국 시장에 비해 투자 수익률이 훨씬 높은 ‘기회의 땅’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기업과 재무적투자자(FI)는 환율·정치·법률 문제를 우려해 투자에 소극적이다. 국내 건설사가 개발도상국 프로젝트를 수주했다가 현지 정치 불안으로 수천억원의 대금을 떼인 사례도 있다. 조 본부장은 “IFC와 공동투자를 하거나, 다자개발은행(MDB)을 프로젝트에 끌어들이는 방법으로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IFC와 IDA는 현지 정부에 민관협력(PPP) 프로젝트를 위한 금융구조와 제도에 관한 자문을 해준다. MIGA는 민간투자자에게 테러 등 정치적 위험에 대한 보험을 제공한다. 그는 “IDA는 최근 ‘민간지원창구(PSW·Private Sector Window)’ 프로그램을 위해 25억달러를 마련했다”며 “최빈국의 신규 인프라 사업에 진출하는 투자자를 위한 보증을 해주거나, 위험 공유, 현지통화 대출 등을 지원 사업을 위한 자금”이라고 말했다.

최근 디지털 기술 발전의 혜택을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이 동시에 누리게 되면서 투자 환경도 변화하고 있다. 조 본부장은 ”방글라데시가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저장·재기화설비(LNG-FSRU)를 도입하고, 인도는 태양광 발전소를 늘리고 있다“며 “신기술의 발전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있고, 투자자의 선택지를 넓히고 있다“고 했다. 과거 개발도상국은 선진국의 발전 단계를 좇았지만, 기술 개발로 몇 단계를 뛰어넘는 ‘퀸텀점프’가 벌어지고 있다. 개발도상국에도 큰손들의 구미를 당길만한 리스크 대비 수익률을 갖춘 프로젝트가 늘고 있다는 것.

조 본부장은 올해 유망한 인프라 투자처로 인도,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인도네시아, 베트남, 미얀마 등 아시아 6개국의 발전, 송·배전망, 도로 등 사회간접자본(SOC) 프로젝트를 꼽았다. 그는 “인구가 꾸준히 늘고, 산업화 진전으로 전력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나라”라고 소개했다.

조 본부장은 ”개발도상국에서의 성공을 위해선 오랜 경험을 갖춘 파트너를 선택하고, 우수한 현지 인력을 고용해야한다“며 ”지역사회에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사업을 추진하는 것도 필수“라고 조언했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주식 카톡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8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