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조희연·김기식… 24년 전 창립멤버 전부 '권력 核'으로

입력 2018-04-13 17:59  

'숨은 권력기관' 참여연대

진보적 주장·행동주의 통해
대표적인 시민단체로 성장

시민사회 성숙 일조했지만
'정치적 편향' 비판 받기도



[ 이현진 기자 ]
참여연대는 1994년 9월10일 ‘참여민주사회와 인권을 위한 시민연대’라는 이름으로 첫발을 내디뎠다. 28세의 학생운동가 출신 김기식이 당시 박원순 변호사와 조희연 성공회대 교수를 찾아가 의기투합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1980년대를 지나며 과거와는 다른 운동 방식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 동의한 진보학자·인권변호사·학생운동 출신 등 300여 명이 동참했다.

그로부터 24년, 참여연대는 대한민국을 좌우하는 권부 핵심세력으로 떠올랐다. 비슷한 성격의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먼저 출발해 성과를 올렸지만, 참여연대는 좀 더 과감한 이른바 ‘진보적’인 주장과 행동주의로 금세 대표적인 시민단체로 성장했다. 올초 기준 참여연대 회원은 1만4588명이다. 1998년부터 정부의 지원을 받지 않고 오로지 회원들의 회비와 후원금만으로 재정을 운영한다. 산하에는 의정감시센터·사법감시센터·행정감시센터·조세재정개혁센터 등 11개 활동기구와 참여사회연구소·청년참여연대 등 4개 부설기관이 활동하고 있다.

참여연대는 각종 사회캠페인과 공익소송을 통해 이름을 알렸다. 대표적인 것이 1997~2005년 진행한 재벌개혁을 위한 소액주주운동이다.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이 당시 이 운동을 이끌며 이름을 날렸다. 2000년대 부패정치인 낙천·낙선운동, 2010년 반값등록금 운동 등 다양한 캠페인을 하며 논란을 불렀지만 결과적으로 시민사회 성숙에 일조했다는 게 일반적인 평이다. 동시에 2006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폐기 운동, 2008년 미국산 소고기 수입반대 촛불운동처럼 정치적으로 편향된 시위를 주도해 사회혼란을 가중시켰다는 비판도 있다.

참여연대는 ‘숨은 권력기관’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주요 활동가 중 다수가 제도권으로 진출했기 때문이다. 권력과 거리를 두고 감시한다는 시민단체 본연의 활동과 이질적인 이 같은 행보는 논란을 부르기도 했다. 류석춘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가 2006년 펴낸 《참여연대 보고서》에 따르면 참여연대 출신 인사는 김영삼 정부(22명) 김대중 정부(113명) 노무현 정부(158명) 등에서 대통령 산하기관, 국무총리 산하기관, 각 부처 위원회 자리를 꿰찼다. 권력으로의 진출이 비단 현 정부에서의 일은 아니라는 뜻이다.

박원순 조희연 김기식 외에 초기 멤버들의 활약도 두드러졌다. 1999년 공동대표를 지낸 한명숙 전 국무총리, 1997~1998년 자문위원을 맡은 김명곤 전 문화관광부 장관 등이 대표적이다. 자문위원을 지낸 권오승 서울대 법학과 명예교수는 노무현 정부에서 공정거래위원장을 지냈고 운영위원이었던 이백만 주교황청대한민국대사관 대사는 노무현 정부 청와대 홍보수석으로 일했다. 참여연대 핵심 일꾼이었던 곽노현 전 서울교육감은 2005~2007년 국가인권위원회 사무총장을 맡았다. 국가인권위원회 1~4대 위원장은 모두 참여연대 출신이다.

이현진 기자 apple@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