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의겸 "아내가 혼자 한 일…난 몰랐다" 씁쓸함만 남긴 대변인의 뒷모습

입력 2019-03-30 20:14   수정 2019-04-01 00:51



흑석동 재개발 투기 논란으로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사퇴한 가운데 대출받은 은행의 지점장이 그의 후배였던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자유한국당은 30일에도 김 대변인에 대해 "개발정보 사전 취득, 특혜 대출, 권력 남용 등의 의혹에 대한 철저한 수사가 필요하다"고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전희경 한국당 대변인은 이날 “10억을 대출해 준 은행 지점장이 김 대변인의 군산제일고등학교 1년 후배임이 드러났다”며 “김 대변인이 사퇴했다고 ‘꼬리 자르기’로 끝낼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앞서 민경욱 한국당 대변인은 "김 대변인이 작년 7월, 재개발 예정 지구의 25억원짜리 건물을 16억원 빚까지 내가면서 구입했다"면서 "잘 살고 있던 집의 전세보증금을 갑자기 모두 빼내 갭투자에 나섰다는 것도 우스운 일이지만, 서민들은 엄두도 못 낼 거액의 은행 빚을 손쉽게 대출받아 재개발 투자에 나섰다는 것만으로도 일반인의 상식으로는 도저히 납득하기 힘든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확신이 있지 않고서야 전세보증금을 모두 빼내 수십억 단위 빚을 보태가며 투기를 하는 일은 없다"면서 "집값 만은 잡겠다며 서민들이 빚을 내어 ‘내 집 하나’ 마련하겠다는 것도 막아서던 정부다. 현직 기자 출신 김의겸이 청와대 들어온 지 고작 5개월 만에 한 짓이 26억짜리 재개발 부동산 투기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 대변인의 사의 표명으로 끝날 문제가 아니다. 참모 관리를 제대로 못한 문 대통령은 대국민사과를 하고 전수조사를 벌여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앞서 김 대변인은 사의표명과 함께 "떠나는 마당이니 다 털어놓겠다"면서 "아내가 자신에게 상의하지 않고 내린 결정이었고, 알았을 때는 되돌릴 수 없는 지경이었다. 이 또한 제 탓이다"라고 털어놓았다.

이어 "내 집 마련에 대한 남편의 무능과 게으름, 집 살 기회에 반복돼 왔던 결정 장애에 아내가 질려있었던 것"이라고 설명하고 이해를 구했다.

김 대변인의 흑석동 재개발 지역 투자는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발표한 ‘2019년도 정기 재산 변동 사항(2018년 12월 기준)’으로 알려졌다.

김 대변인은 2층짜리 건물을 구입하기 위해 KB국민은행에서 배우자 명의로 10억 2080만원을 대출받았다. 사인 간 채무도 3억 6000만원 발생했다.

흑석동 건물 세입자에게 받은 보증금(2억 6500만원)까지 포함하면 총 16억4580만원의 빚을 지고 건물을 산 셈이다. 김 대변인은 청와대 관사로 거처를 옮기면서 살고 있던 전세계약(4억 8000만원)도 해지했다.

무주택자였던 김 대변인의 부동산 거래에 불법적인 점은 없었지만 16억원이라는 거액의 빚을 내면서까지 재개발 구역에 투자를 했다는 점 때문에 투기 의혹에 휩싸였다.

김 대변인은 사의 표명 후 문 대통령과 오찬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이제 어디에서 살 계획이냐"라고 물었고 김 대변인은 "아직 모르겠다"고 답했다. 두 사람은 오찬에 반주를 곁들이며 아쉬움을 나눈 것으로 전해진다.

문 대통령이 "회의에 꼬박꼬박 참석하며 국정 현안을 국민들에게 잘 전해달라"면서 업무 편의를 위해 관사를 제공하자 이 기회를 이용해 부동산에 투자한 '집도 절도 없었던' 김 대변인.

"시세차익을 보면 크게 쏘겠다"라고 마무리된 해명글에 언론과의 갈등을 겪은데 대한 사과는 있었지만 투기 의혹에 실망한 국민들에 대한 사과의 메시지는 끝내 담기지 않았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