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식 대덕전자 회장 별세…과학인재 사랑한 '전자산업 산증인'

입력 2019-04-11 18:10  

모교 서울대에 500억 쾌척
흑백 TV부터 스마트폰까지
전자부품 경쟁력 강화에 전력



[ 김진수 기자 ] 과학기술 지원과 장학사업 등을 활발하게 펼쳐온 김정식 대덕전자 회장이 11일 별세했다. 향년 90세.

국내 전자산업의 ‘산증인’으로 불리는 김 회장은 1929년생으로 함경남도 조선전기공고를 졸업하고 서울대 전자통신학과로 진학했다. 대학 재학 중 6·25전쟁이 터져 공군에서 복무했다.

김 회장이 1965년 설립한 대덕전자는 국내 전자산업의 발전 역사를 그대로 응축하고 있다. 흑백TV 인쇄회로기판(PCB) 부품 생산으로 시작해 PC와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부품까지 생산 품목을 확대했다. 스마트폰과 5세대(5G) 이동통신 등에 필요한 PCB를 주로 생산하고 있다. 대덕전자는 지난해 매출 9600억원에 직원 2000여 명을 거느린 중견기업으로 성장했다.

전자산업 발전에 대한 김 회장의 애정과 관심은 생애 마지막까지 뜨거웠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전했다. 김 회장은 1991년 사재를 들여 해동과학문화재단을 설립, 이공계 연구자에게 연구비를 지원해왔다. 교육시설 지원사업, 미래과학인재 양성사업, 장학사업 등도 하고 있다. 1990년부터 과학기술 분야 연구자에게 해동상을 시상하고 있다. 지금까지 282명의 연구자에게 1인당 평균 2500만원의 연구비를 지원했다. 전국 20여 개 공과대 건물에 해동도서관 건립을 지원하는 등 국내 이공계 연구자 및 대학의 든든한 후원자로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김 회장은 또 취업이 어려운 장애인의 자활을 돕기 위해 1996년에는 사회복지법인 명휘원 내에 장애인 근로작업시설인 해동일터를 건립했다. 봉제 컴퓨터자수 재단 등 직업훈련을 받은 50여 명의 장애인이 대덕전자를 비롯해 경기 시화·반월공단 내 제조업체에 작업복을 생산, 공급한다. 2002년에는 대덕복지재단을 세워 사회공헌사업도 활발히 해왔다.

김 회장은 지난 2월 모교인 서울대에 인공지능(AI)센터를 설립해달라며 사재 500억원을 쾌척해 화제를 모았다. 당시 김 회장은 “흑백TV에서 스마트폰까지 발전하는 과정에서 인재 육성이 얼마나 중요한지 느꼈다”며 “해외 유수의 교육기관이 AI 등 새로운 미래 기술에 막대한 투자를 하는 트렌드를 반영한 이 기부가 새로운 도약의 발판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빈소는 서울아산병원 30호실에 마련됐다. 발인은 오는 15일 오전 8시.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