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80만명 접속..."숲 제치고 유튜브 잡겠다"

네이버의 스트리밍 플랫폼 '치지직'이 최강자인 '숲'을 빠른 속도로 따라잡고 있습니다. 지난 9일 공식 출시 이후 일일 이용자수에서 숲을 앞지르기로 했는데 네이버는 치지직을 발판으로 숏츠와 커머스 등으로 외연을 확장한다는 계획입니다. 이서후 기자가 보도합니다. 얼마 전 부업으로 게임 방송을 시작한 스트리머 김지영씨. 국민 기업 네이버의 플랫폼으로 10대~20대의 젊은 시청자가 많아 치지직에서 첫 방송을 시작했다고 합니다. [김지영/서울 송파구: 가장 큰 좋은 점은 연령층이 10대에서 20대로 낮은 거죠. (치지직이) 네이버에서 하다 보니까 어린 친구들이 많이 들어오잖아요.] 5개월의 시범 서비스를 마친 치지직은 공식 출시 약 일주일만인 지난 18일 일간활성이용자수(DAU)로 숲(구 아프리카TV)을 앞섰습니다. 치지직이 숲의 일일 이용자수를 제친 건 지난 3월 1일 이후 3개월만입니다. 월간 이용자수 역시 격차를 빠르게 좁혀 지난달에는 불과 10만명 차이로 바짝 뒤쫓고 있습니다. 공식 출시와 함께 추가된 미션후원과 영상편집 등 새로운 기능들이 이른바 MZ세대의 호응을 얻었습니다. 스트리머 뿐 아니라 시청자들도 실시간 방송을 '숏폼' 영상으로 편집해 업로드하고, '움짤' 형태로 후원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페이로 후원금을 결제하고, 적립금은 네이버 쇼핑에서 쓸 수 있는 등 거대한 생태계와의 연결성도 강점으로 꼽힙니다. 네이버는 치지직이 온라인 게임 방송을 넘어 유튜브와 같은 영상 플랫폼으로 확장할 수 있다고 보고 오프라인 마케팅에도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강지수/네이버 치지직 마케팅 매니저: 스트리머와 시청자들과 접근을 다변화하기 위한 노력으로 팝업스토어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네이버 쇼핑이나 커머스 같은 네이버의 다양한 상품과 연계해서 스트리머 그리고 시청자들과 저변을 넓혀나가는 그림을 구상 중에 있습니다.] 네이버는 지난 4월 대대적인 조직 개편을 단행, 치지직을 독립된 셀 조직으로 분리하고 60명에 달하는 인원을 배치했습니다. 향후 라이브커머스까지 접목해 글로벌 최강자 유튜브에 맞선다는 전략입니다. 한국경제TV 이서후입니다. 영상취재:김성오, 영상편집:김주경, CG:차은지

자세히 보기

美 두부공장 증설 연기…풀무원 "올해 흑자 우선"

풀무원이 지난해 하반기부터 계획해온 미국 두부공장 증설을 내년으로 미룬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그간 공격적인 투자로 재무부담이 커진데다, '아픈 손가락'으로 꼽히던 해외사업의 흑자 전환을 달성하는데 우선순위를 둔 것으로 보입니다. 김예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1991년 미국에 진출한 풀무원은 현지에서 4개의 생산 공장을 운영 중입니다. 그간 풀무원은 수출 대신 현지 생산 기지를 구축해 유통망을 넓히고 불필요한 물류비를 줄이는 외형 성장에 집중해 왔습니다.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 풀러튼 공장과 길로이 공장, 일본 교다공장 등 생산 라인을 공격적으로 확충했습니다. 당초 미국 동부에 위치한 아이어 두부공장도 수백억 원을 투자해 증설할 계획이었는데 내년으로 미룬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미국 두부 매출이 올 1분기 최대치를 기록하기도 하는 등 현지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는데도 증설을 연기한 겁니다. 투자보단 내실에 집중해 풀무원의 아픈 손가락으로 꼽히던 해외사업 흑자 전환을 우선 달성하겠다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해외 매출의 65%를 차지하고 있는 풀무원의 미국법인은 2013년부터 누적 2,657억 원의 순손실을 기록했습니다. 외형 성장 중심의 전략으로 풀무원의 재무 부담이 커진 것도 부담입니다. 풀무원의 총차입금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 1조원대까지 늘었고, 부채비율도 300%대까지 치솟았습니다. [이효율 / 풀무원 대표 (3월 정기주주총회 中): 미국 사업을 어떻게 턴어라운드 시켜낼 것이냐가 주요한 우선순위라고 생각이 되고요. 그동안 많은 투자를 했고 생산 설비도 갖췄고… 그런 것들이 올해 활성화되고 실적으로 나타나지 않겠냐…] 수백억 원대 증설 계획이 연기되면서, 올해 33년 만에 해외사업 첫 흑자 전환 기대감은 더욱 커졌습니다. 지난해 11월 증설한 미국 생면 공장을 통해 현지 수요에 빠르게 대응하며, 1분기 미국법인 매출은 15% 상승했습니다. 일본, 중국 법인도 판가 인상 등 수익성 개선을 이뤄, 1분기 해외사업 전체 영업손실은 8억원으로 전년보다 대폭 개선됐습니다. 한국경제TV 김예원입니다. 영상편집: 노수경, CG: 서조슈아

자세히 보기

케이뱅크 다음달 상장신청…몸값 낮춘 '눈물의 상장'

국내 첫 인터넷전문은행인 케이뱅크가 다음달 유가증권시장 상장에 도전합니다. 한때 7조원으로 예상됐던 몸값이 3조원까지 줄었지만, 케이뱅크는 반드시 연내 상장을 마치겠다는 입장입니다. 올해 안에 증시에 입성해야 하는 이들의 사연, 전범진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지난해 주식시장의 한파속에 상장을 포기했던 케이뱅크가 다음달 다시 한번 코스피 시장의 문을 두드립니다. 증권가에서는 이르면 9월에는 실제 상장이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다만 특이한 점은 케이뱅크가 몸값을 크게 낮추면서까지 상장을 추진하고 있는 점입니다. 최초 상장에 도전했던 2022년 당시 7조원을 제시했던 케이뱅크의 목표 기업가치는 불과 2년만에 3조원까지 내려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렇게 되면 IPO를 통해 추가할 수 있는 자본금이 3,000억원 정도밖에 되질 않는데도 케이뱅크는 반드시 연내 상장을 마치겠다는 입장입니다. 업계에서는 그 배경에 대주주인 비씨카드의 사정이 크게 작용했다는 설명이 나옵니다. 케이뱅크는 1차 상장 시도 직전인 2021년, 유상증자를 통해 MBK파트너스와 베인캐피탈 등 재무적 투자자들에게 7,250억원을, 대주주인 비씨카드로부터 4,250억원을 투자받았습니다. 당시 대주주인 비씨카드는 케이뱅크가 2026년 7월까지 상장에 성공하지 못할 경우, 보유한 케이뱅크 주식 전부를 매각하거나 투자자들에게 투자금과 일정 수익금을 보장하겠다는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미 케이뱅크에만 6,600억원을 투자한 비씨카드 입장에서 7,250억원 이상의 추가 현금 유출은 수용하기 어려운 수준입니다. 케이뱅크로서도 연내 상장은 선택이 아닌 의무에 가깝습니다. 금융당국이 투자자들이 출자한 7,250억원에 대해 상장이 이뤄지고, 옵션 행사 가능성이 없어지기 전까지는 자기자본으로 인정하지 않겠다고 결정했기 때문입니다. 이 탓에 케이뱅크의 BIS 자기자본비율은 금감원의 권고치인 13%를 겨우 넘겨, 추가적인 자본 확보에 어려움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케이뱅크가 비씨카드와 투자자들로부터 1조2,000억원을 수혈받을 당시 측정했던 기업가치는 2조4,500만원. 3년 사이 흑자전환에 성공하고, 고객 1,000만명을 돌파하며 몸집을 키운 케이뱅크가 '본전'에 가까운 상장에 나선 것은 결국 모기업과 자신들의 재무안전성을 고려한 '고육지책'이라는 평가입니다. 한국경제 TV 전범진입니다

자세히 보기
한국경제TV 채널을 구독하고
다채로운 소식을 받아보세요.
구독 좋아요!

TV광고 이미지

베스트 수익률

송관종대표

HLB

송관종대표
106.74 %
  • 매도일시2024-03-29
  • 매도가105,890
송관종대표

알테오젠

송관종대표
99.55 %
  • 매도일시2024-03-29
  • 매도가197,998
강준혁대표

자람테크놀로지

강준혁대표
82.98 %
  • 매도일시2024-04-08
  • 매도가66,775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